[Z인터뷰] '여곡성' 서영희 ② "대학후배 손나은? 제겐 부러운 후배"
[제니스뉴스=권구현 기자] 배우 서영희는 대한민국의 보석 같은 배우다. 1999년 연극 ‘모스키토’로 데뷔한 이후 정말 꾸준히, 그리고 빼곡히 자신의 필모그래피를 채워왔다. 작품만 많은 것이 아니다.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마돈나’를 통해 칸의 레드카펫을 밟는 등 국내외 영화제에서 서영희의 이름을 찾는 건 어렵지 않다. 언제나 주연과 조연, 자신의 위치를 가리지 않고 작품 속에 알알이 박혀 자신을 오롯하게 빛냈다. 덕분에 그의 작품은 서영희라는 이름만으로도 찬란히 빛났다.
그런 서영희가 영화 ‘여곡성’으로 다시 관객 앞에 섰다. 지난 1986년 개봉해 한국 호러 영화의 레전드로 자리매김한 동명 작품의 리메이크다. 호러라 하여 무서울 수도 있겠으나,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추격자’ 등 이미 대한민국의 스릴러의 계보를 잇고 있는 서영희다. 언론시사 당시 “피 분장이 잘 어울린다”는 자평이 단순한 너스레로 들리지 않는 이유다. 그렇게 사람을 상대하던 서영희는 이번엔 귀신을 상대했다.
최근 서울시 종로구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배우 서영희와 제니스뉴스가 만났다. 언제나 그렇듯 서글서글한 미소로 맞이하던 서영희. 스크린과는 전혀 다른 모습에 역시 참 배우라는 걸 느끼는 순간이었다. 그리고 그 미소와 함께 풀어 놓는 이야기 역시 왜 서영희가 충무로의 보석으로 빛나고 있는지, 고개를 끄덕일 수 있었다. 그는 연기를 정말 잘 하고픈 배우였다.
손나은, 이태리 등 어린 친구들과 함께 작업했다. 호흡은 어땠을까?
그 친구들이 저를 많이 배려했던 것 같다. 이야기도 함께 많이 하고, 절 많이 껴줬다. 그 친구들의 배려가 좋았다고 생각한다. 소통하는 게 재미있고 좋았다. 연극도 같이 보러 갔다.
손나은 씨는 학교 후배라 더 반가웠을 것 같은데.
나은이 팬들이 현장에 선물을 많이 해주셨다. 하하. 학교 후배라는 건 알고 있었지만, 솔직히 학교에서 부딪힐 일은 없었다. 하지만 그런 공통점이라도 좋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굉장히 반가웠다. 예전에 선배님들을 볼 때 동문끼리 만나서 같이 작업하는 게 굉장히 부러웠다. 이런 계기로 학연이 시작되는 것 같다. 하하.
김수현 선생님 작품 할 때도 굉장히 밝고 열심히 하는 친구였다. 제겐 가수 보다는 배우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그래서 감독님이 나은이를 이야기할 때 “저 너무 좋아요”라고 했다. 나은이가 예의가 있다. 전 그런 사람을 좋아한다.
선배로서의 조언도 있었을까?
다들 자기 몫을 해내는 친구들이다. 특히 박민지, 이태리는 다 경력이 오래된 친구들이다. 저만 잘하면 됐고, 오히려 제가 도움을 받아야 하는 처지였다. 일찍 시작한 친구들인데 바르게 커준 게 고맙기도 했다. 특히 나은이는 제가 경험해보지 못한 삶을 살아온 친구라 부럽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궁금한 것도 많았고, 질문도 많이 했다.
무슨 질문이었을까?
그런 걸그룹의 생활? 여자들끼리의 생활? 숙소 생활도 궁금했고, 노래 잘 하는 것도 부럽고, 춤 잘 추는 것도 부러웠다. 무엇보다 25살의 나이에 열심히 살아온, 그리고 살아가는 나은이가 멋있었다.
어렸을 때 미련이 남는 것들이 있는 걸까?
물론 저도 그 나이 때 열심히 살았다. 하지만 전 연기만 했다면, 나은이는 다양하게 활동했다. 그런 게 많이 부러웠다. 저 역시 하고 싶은 게 굉장히 많았다. 하지만 할 수 있는 게 없었다. 요리 잘 하는 친구를 보면 요리를 잘 하고 싶고, 옷을 예쁘게 만드는 친구를 보면 저도 만들 수 있을 거 같았다. 그런데 시도를 안 한다. 집에 가면 잊어 버린다. 이상하게 그때가 되면 ‘그냥 연기나 잘 하자’의 느낌으로 흘러버린다.
그렇기에 연기 잘 하는 배우가 된 것 아닐까?
아직도 연기 잘 하는 사람이 목표다. 연기를 잘 해보고 싶어서, 공연을 시작했다. 제가 좋아하는 연기를 계속하고 싶어서 배우라는 직업을 선택했다. 그렇게 영화를 하게 됐다. 많은 사람이 더 알아보는 배우가 돼야 연기를 더 할 수 있으니 드라마를 하게 됐다. 모든 게 연기를 잘 하고 싶어서 이뤄진 일이다. 언젠가는 모든 사람이 인정해주는 그날까지, 전 잘 하고 싶다.
연기를 잘 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까?
몸가짐을 바로 하고, 손가락질 안 받고 잘 살려고 한다. 사람이라는 건 티가 난다. 나이가 들수록 얼굴에 티가 난다고 한다. 잘 살아가야 더 많은 표현도 할 수 있고, 그래야 기회도 온다. 그리고 그렇게 살아야 관객들이 제 연기를 믿어주실 거다.
좋은 연기를 위해 잘 살아야 하는 것일까? 연기가 마치 종교처럼 느껴진다.
그건 또 아니다. 결국 전 제 삶을 잘 살기 위해 연기를 잘하고 싶은 거다. 저만큼 제 삶을 소중히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결혼을 결정할 때도 제 자신을 사랑하기에 빨리 결정했었다. 연기는 뭐랄까? 제 삶을 완벽하게 해주기 위한 존재다.
사진=스마일이엔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