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현장] '봉오동 전투' 유해진X류준열X조우진, 승리의 역사로 新 패러다임 연다(종합)
[제니스뉴스=이혜린 기자] 영화 '봉오동 전투'가 독립을 위해 목숨 바친, 이름조차 기록되지 수많은 영웅들의 최초의 승리를 스크린에 띄운다.
영화 '봉오동 전투' 제작보고회가 3일 오전 서울 강남구 신사동 CGV 압구정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원신연 감독, 배우 유해진, 류준열, 조우진이 참석했다.
'봉오동 전투'는 지난 1920년 6월, 죽음의 골짜기로 일본 정규군을 유인해 최초의 승리를 이룬 독립군의 전투를 그린 영화다. 3.1 운동 이후 독립군의 무장투쟁이 일궈낸 첫 승리이자 청산리 대첩의 교두보가 된 전투로 더욱 의미가 깊다. 게다가 영화 '용의자', '살인자의 기억법' 등을 연출한 원신연 감독의 차기작으로 제작 전부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았다.
원신연 감독은 이번 작품에 대해 "'봉오동 전투'는 중국 지린성의 골짜기에서 최초로 승리한 독립군의 전투를 다룬다"며 "봉오동 전투는 널리 알려진 한 사람의 영웅이 아닌 어제 농사짓던 인물이 독립군이 될 수 있던, 모두의 승리였던 전투였다. 일본 정규군을 상대로 독립 연합부대가 최초로 승리했고, 기록으로 남았기에 의미가 남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어 첫 역사물 도전에 "고민이 상당히 많았다. 잠도 잘 못 자면서 준비했다. 지금까지 시대를 이야기하는 영화들이 피의 역사, 아픔의 역사를 주로 이야기했다면 '봉오동 전투'는 저항, 승리의 역사를 이야기한다. '패러다임이 바뀌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밝혔다.
유해진-류준열-조우진이 '봉오동 전투'로 만났다. 유해진은 마적 출신의 독립군 '황해철'로, 류준열은 비범한 사격 실력의 독립군 분대장 '이장하'로, 조우진은 해철의 오른팔 명사수 '병구'로 분했다. 세 사람이 99년 전 조국을 되찾기 위해 뛰었던 독립군의 모습을 어떻게 그릴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원신연 감독은 캐스팅에 대해 "세 가지를 주로 고려했다. 먼저 역사적인 일을 소재로 하다 보니, 역사를 진정성 있게 바라보는 분들을 캐스팅하려고 했다. 또한 영웅의 모습이 아닌 주변에 있는 이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친근한 부분도 중요했다. 그리고 그 당시 험난한 산, 골짜기를 뛰어다녔기 때문에 산과 산을 뛰어넘는 체력이 중요했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무기도 다르게 배분했다. 군대에 가면 유난히 총을 못 쏘는 친구들이 있는데, 황해철이 그런 캐릭터다. 그래서 자신의 몸에 맞는 항일대도를 쥐여줬다. 이장하는 체계적인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소총의 저격수로 캐릭터를 잡았다. 병구는 마적 출신이라는 점을 반영해 본능적으로 총을 잘 쏘는 캐릭터다"고 전했다.
류준열은 '봉오동 전투' 출연에 "실존 인물을 캐릭터화하면서 이야기하다 보니 독립군의 생활, 마음가짐 등 자료도 많이 찾아 봤다"며 "또한 국내가 아닌 중국에서 벌어진 전투이기 때문에 또 다른 심정이었을 거 같았다. 다른 나라에서 독립을 위해 싸운다는 것 자체가 뭉클하기도 했다. 꼭 참여하고 싶었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봉오동 전투'는 손에 땀을 쥐게 만들 액션신, 그 안의 감정, 현실적인 시대 배경 등을 토대로 관객들을 사로잡을 것을 예고했다.
원신연 감독은 "기록이나 사료를 보면 선제공격, 유인책, 험준한 산악지역을 이용했다는 부분이 있다. 액션처럼 미화하지 않았고, 있는 그대로 보여드리려고 멀리 떨어져서 찍은 부분도 많다. 어렸을 적 기억에 교과서 속 삽화들을 재연하려고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옥수수밭을 경작도 했다. 1920년대 조선 천민들의 배경이 필요했고, 지금은 남아있는 부분이 없어 지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농작물이 필요해 1만 평에 가까운 땅에 미술팀이 상주하며 씨뿌리고 경작했다"면서 "농사를 처음 짓다 보니 4개월 동안 어려움이 많았다. 하지만 이후 촬영하려고 가보니 대풍년을 이뤄놨었다. 찰옥수수가 알차게 익어서 한 자루씩 집에 가져가기도 했다"고 털어놨다.
끝으로 조우진은 "어제 괭이를 들고 있었던 사람, 연필을 들고 있던 사람이 나라를 구하겠다는 마음 하나로, 목숨까지 바치며 싸운다. 호흡을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심장이 크게 동할 거 같다"고 전했다.
원신연 감독은 "그 당시 실제로 승리를 거뒀던 분들의 생각과 의미를 봐주셨으면 좋겠다. 봉오동 전투가 한국사 교과서에 딱 7줄 나와있다. 카메라는 '불행한 일들과 그들의 잊혀지는 일에 대한 무기다'라는 말이 있는데, 그런 점에 있어서 부끄러웠고, '꼭 기억하자'고 다짐하면서 이 영화를 만들었다"고 마무리했다.
한편 영화 '봉오동 전투'는 오는 8월 개봉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