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인터뷰] '유열의 음악앨범' 김고은 ① “정해인 씨와 잘 어울린다는 말 많이 들었죠"
[제니스뉴스=마수연 기자] 배우 김고은이 서정적인 로맨스로 스크린을 찾아왔다. 대형 영화 사이에서 틈새시장을 공략한 영화 '유열의 음악앨범'에서 정통 멜로에 도전한 그는 섬세한 감정선을 표현해냈다.
영화 '유열의 음악앨범'은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노래처럼 우연히 만난 두 사람 미수(김고은 분)와 현우(정해인 분)가 오랜 시간 엇갈리고 마주하길 반복하며 서로의 주파수를 맞춰 나가는 과정을 그린 감성 멜로 영화다. 극중 김고은은 돌아가신 엄마가 남긴 제과점을 지키며 살아가는 미수를 그렸다.
'유열의 음악앨범'은 시간적 배경이 1994년에서 시작하는 만큼 그 시절의 느리고 투박한 감성이 고스란히 담겼다. 대형 스케일과 화려한 액션은 없지만 어릴 적 듣던 음악과 바라보던 익숙한 풍경 등이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그 속에서 김고은은 어디에나 있을 법한 미수를 연기하며 공감을 자아낸다. 사랑과 현실 사이에서 고민하고 선택하는, 이 시대의 청춘과 다를 바 없는 미수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영화 속으로 빠져들게 만든다.
잔잔하고 감성적인 멜로로 돌아온 김고은을 지난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6년의 시간을 쌓으며 한층 더 성숙해진 김고은과의 대화를 이 자리에 전한다.
Q. 영화 속에서 정말 예쁘게 나왔어요. 직접 보신 소감이 궁금해요.
저는 정작 아쉬운 모습만 보여서요. 시사회 때 처음 완성본을 보기 때문에, 그때가 가장 힘든 시간인 거 같아요. 특정 장면이 아쉽다기보다는 순간순간의 표정이나, 저만 느낄 수 있는 것들이 아쉬워요.
Q. 최근 보기 힘든 멜로 장르의 영화예요. 시나리오를 받은 입장에서는 어땠나요?
굉장히 반가운 시나리오였어요. 멜로 영화 정말 하고 싶다고 노래를 불렀는데 드디어 하게 된 거죠. 하하. 시나리오 상에서 큰 사건이 없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잔잔히 흘러가는 내용이에요. 정말 오랜만에 받아보는 느낌의 이야기예요. 일상적이고 현실과 밀접한 감정들이라고 느꼈고,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이야기이지 않을까 생각해요.
Q. 영화의 시간적 배경은 1994년부터 시작이에요. 김고은 씨는 1991년생이라 당시 세 살이었는데, 그 시절의 감성을 이해하기 어렵지 않았나요?
그 시대라고 해서 그 나이대의 감성이 변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어요. 고민하는 지점이나 감성들이 지금의 20대들과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고요. 지금은 바로 연락할 수 있는 발 빠른 시대인데, 그때는 조금 더 천천히 흐르는 시대였다는 정도?
Q. 극중 미수가 겪었던 일들은 실제 모두가 한 번씩 경험하는 것들이에요. 연기하면서 많이 공감했을 거 같아요.
미수 대사 중에 "내가 못나면 다 후져 보여"라는 게 있는데 정말 많이 공감 됐어요. 내 자신이 작아졌을 때 옆에 있는 사람이 제일 소중한 사람인데 오히려 상처를 주게 되고, 그런 내 모습이 너무 싫고. 이런 악순환이 이뤄지잖아요. 그러다가 상처를 줄까봐 정말 사랑하는 사람도 만나기 어려워지고요. 저에게도 그런 시간이 있어서 미수가 현우와 다시 연락이 됐을 때 만나지 않는 선택에 정말 많이 공감했어요.
Q. 풋풋한 사랑이야기라는 점도 공감했나요?
풋풋한 사랑도 공감했죠. 이성을 처음 좋아하고 만났던,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도 몰랐던 기억들이 많이 스쳤던 거 같아요. 촬영하면서도 옛날 생각들이 많이 났어요.
Q. 김고은 씨의 첫사랑은 어떻게 기억에 남아있을지 궁금해요.
처음 사귄다는 정의를 내렸던 사람이 첫사랑 아닌가요? 하하. 도움을 많이 받았던 거 같아요. 처음 느껴보는 감정도 많았고. 미수와 현우가 처음 뽀뽀할 때처럼, 입술 닿는 느낌을 그때 처음 느껴봤어요. 그때 전 미수보다 훨씬 더 놀랐던 거 같아요. 이게 무슨 일인가 하면서, 너무 놀라 엉덩방아를 찧었던 기억이 나요.
Q. 상대역인 배우 정해인 씨와 '그림체가 비슷하다'는 느낌이 있어요. 파트너로서는 어땠나요?
영화 속에서 3일간 데이트 하는 장면 같은, 일상이 주는 소소함을 잘 담아내고 싶었어요. 그런 장면을 촬영하고 모니터를 보면서 저하고 해인 씨가 잘 어울린다는 말을 많이 들었고, 저도 그렇게 느꼈어요. 기본적으로 서로 배려가 깔려 있으면 호흡이 안 맞을 일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저희는 서로가 그랬던 거 같고, 호흡이 잘 맞아서 즐겁게 촬영할 수 있었어요.
Q. 정지우 감독님과도 영화 '은교' 이후 오랜만에 다시 만났어요. 이전에 감독님에 대해 몰랐던 것을 느꼈을 거 같아요.
'은교' 때는 제가 너무 무지한 상태였기 때문에, 현장에서 스태프들이 어떤 역할을 한다는 이해가 크지 않은 상태였어요. 그 상황에서 오롯이 연기에만 집중할 환경을 만들어 주셨는데, 한 작품씩 하면서 그때 감독님께 받았던 배려가 엄청난 거였구나 하고 많이 느꼈어요. 그전에는 제가 감독님께 의지했다면 이번에는 제가 좋은 배우가 되어야겠다 생각했고, 감독님이 힘드실 때 저에게 의지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잘 됐는지는 모르겠어요.
Q. 감독님이 미수라는 캐릭터에 특별히 요구한 점이 있었나요?
특별히 요구하신 부분은 없었던 거 같아요. 캐릭터보다는 현장에서의 감정선에 대해 많이 이야기하셨어요. 감독님이 굉장히 디테일하게 이야기하시는 편인데, 감정의 결을 다른 방향으로 가보면 어떻겠냐는 이야기를 주로 하셨고. 저에게 많이 맡겨주셨어요.
Q. 미수라는 캐릭터가 가진 감정을 쌓으면서 어려운 부분이 있었나요?
저는 10년 전의 저와 지금의 제가 두드러지게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말투나, 외형적인 변화나. 하지만 분명히 10년의 시간을 거치면서 성숙해지고, 사고의 변화나 생각의 폭이 넓어졌을 수도 있고, 내면의 변화가 있었어요. 오랜만에 저를 봤을 때 "너 뭔가 느낌이 다르다" 같은 이야기를 들을 때가 있는데, 그걸 표현하려고 했어요. 순간의 심리 상태에 따라서, 혹은 어떠한 일들을 겪은 후에 기운이 달라지는 지점을 미세하지만 표현해보고 싶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