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현장] 정유미X공유 ‘82년생 김지영’, 담담하게 그리는 보편적 여성의 삶(종합)
[제니스뉴스=마수연 기자] 배우 정유미가 오늘을 살아가는 평범한 여자로 스크린을 찾아온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통해 정유미가 그리는 가장 보편적인 여성은 어떤 모습일지 관심이 집중된다.
영화 ‘82년생 김지영’ 제작보고회가 30일 오전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배우 정유미, 공유, 김도영 감독이 참석했으며 진행은 방송인 박경림이 맡았다.
‘82년생 김지영’은 1982년 태어나 2019년 오늘을 살아가는 김지영(정유미 분)의 아무도 몰랐던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누적 판매 100만 부를 돌파한 조남주 작가의 동명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다.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여자 지영을 연기한 정유미는 사랑스러움을 주로 연기했던 이전과는 다른 이미지로 포스터와 예고편 공개부터 많은 화제를 받았다. 정유미는 “전 아직 결혼도 하지 않았고, 육아 경험도 없어서 주변 사람들 생각이 많이 났다”라며 “바쁘다는 핑계로 그들의 이야기를 알면서도 외면하고 있었다는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저를 돌아보며 부끄럽기도 했다”고 연기한 소감을 전했다.
이에 김도영 감독은 정유미가 김지영 그 자체였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김도영 감독은 “김지영은 보통의 우리와 같은 평범한 인물인데, 평범함을 연기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라며 “정유미 배우를 만나고 그 고민을 많이 덜었다. 제 상상을 뛰어 넘는 김지영 자체로 존재해서, 현장에서 저도 여러 번 울컥했던 적 있다”고 고마움을 표현했다.
공유는 지난 2016년 개봉한 영화 ‘밀정’ 이후 ‘82년생 김지영’으로 3년 만에 스크린으로 돌아왔다. 그는 시나리오를 통해 가족을 떠올리게 돼서 출연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공유는 “처음 시나리오를 선택할 때 저와 캐릭터가 닮은 점이 어디 있는지 본능적으로 보게 된다”라며 “대현에게서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 있었다. 소심하지만 배려심이 깔려 있는 인물인데, 제 자랑 같지만 저와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공감했다. 시나리오를 덮고 가족 생각이 많이 났다”고 답했다.
‘82년생 김지영’은 영화 제작과 캐스팅 소식이 이어지자 포털 사이트의 영화 평점 테러와 정유미의 SNS에 악플이 달리는 등 순탄치 않은 시작을 맞이했다. 그러나 정유미와 공유 모두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 선택에 망설임이 없었다.
“그런 상황으로 큰 부담을 느끼지는 않았다”고 운을 뗀 정유미는 “이 이야기를 선택해서 같이 만들고 싶은 마음이 더 컸고, 결과물을 잘 만들어서 관객들과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컸다. 크게 걱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공유 역시 “저희 역시 기사를 접하고 상황을 볼 수밖에 없는데, 이런 상황이 결정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던 거 같다”라며 “좋은 시나리오를 읽고 나서 하고 싶은 역할, 들어가고 싶은 이야기를 선택하는 것에 크게 방해되는 문제는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관점의 차이는 늘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배우로도 활동하고 있는 김도영 감독은 이번 작품으로 생애 첫 장편 영화를 연출하게 됐다. 그는 지난해 영화 ‘자유연기’로 다수의 영화제에 소개되며 주목 받았고, 이를 통해 ‘82년생 김지영’과 만나게 됐다.
김도영 감독은 “‘자유연기’로 영화제에서 수상하게 됐는데, 당시 제작사에서 그 영화를 보고 이번 작품 제안을 주셨다”라며 “‘82년생 김지영’은 ‘자유연기’를 준비하며 이미 원작 책을 읽었다. 저 역시 두 아이의 엄마이자 아내, 누군가의 딸이고 사회생활을 해서 많이 공감했다”고 말했다.
이어 “첫 장편 데뷔작인데, 이번 영화로 원작이 지닌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며 영화적 이야기를 잘 만들 수 있을지 고민과 부담도 있었다”라며 “하지만 할 만한 이야기고, 해야 할 이야기고, 이 이야기가 상업영화의 틀 안에서 제작된다는 건 굉장한 의미와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연출하기로 마음먹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시나리오를 작업하며 가장 신경을 썼던 부분을 묻자 김도영 감독은 “원작은 실제 수치 등을 나열한 르포르타주 형식이라, 영화적 서사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많이 고민했다”고 답했다.
그는 “관객들이 김지영이란 인물에 이입하고, 김지영을 통해 주변을 둘러볼 수 있는 이야기가 돼야 했다”며 “그 과정 속에서 지영과 관계를 맺고 있는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섬세하고 감정적으로 표현하며 이야기가 풍부해졌다. 정유미 씨, 공유 씨가 너무 잘 해주셔서 드라마가 풍성해졌다”고 감사한 마음을 표현했다.
정유미와 공유는 영화 ‘도가니’, ‘부산행’ 이후 ‘82년생 김지영’으로 세 번째 호흡을 맞추게 됐다. 또한 이번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부부 연기를 선보이게 된 두 사람은 편안함과 친근한 모습으로 현장에서도 뛰어난 연기를 선보였다고 한다.
정유미는 “‘부산행’에서는 직접적으로 대면해서 연기할 기회가 많지 않았다. 공유 오빠와 조금 더 편해진 사이가 되고 나서 이런 역할을 맡게 됐다”며 “직업이 배우인데, 함께 좋은 이야기를 통해 연대할 수 있어서 감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공유 역시 “함께 나이를 먹고 어른이 돼가는 느낌이라 좋았다”라며 “유미 씨는 어떻게 이처럼 변함이 없는지 모르겠다. 외형적인 모습이나 성격 모두 똑같다”고 애정을 표현했다.
또한 정유미는 현장에서 공유의 연기를 보며 긴장했다는 에피소드를 공개했다. 그는 공유의 높은 캐릭터 이입에 더욱 좋은 연기를 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었다고 한다.
당시를 회상한 정유미는 “함께 촬영한 장면은 아니었고, 오빠가 어떻게 촬영했는지 궁금해서 봤는데 ‘뭐야. 언제 이렇게 몰입했지?’라는 생각이 들었다”라며 “공간 때문에 제약이 많은 어려운 신이었는데, 이미 얼굴이 대현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그걸 보고 저도 정말 잘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답했다.
이에 공유는 “처음 유미 씨가 김지영의 의상을 입고, 김지영의 모습으로 있는 걸 봤을 때 김지영 그 자체라는 생각이 들었다”라며 “개인적으로 이미 친해서, 사석에서는 보면 웃음이 나는 가까운 사람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유미 씨가 김지영의 모습을 하고 벤치에 앉아있는 뒷모습을 보면 이미 이입이 됐다”고 뛰어난 호흡을 자랑했다.
한편 ‘82년생 김지영’은 오는 10월 중 개봉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