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F/W 서울패션위크’, 지난 시즌과 달라진 다섯 가지 포인트(종합)
[제니스뉴스=이예진 기자] ‘2016 F/W 서울패션위크’가 지난 시즌과 달라진 다섯 가지 포인트를 공개했다.
‘2016 F/W 서울패션위크’ 기자간담회가 9일 오전 서울 중구 을지로 동대문 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패션위크 총감독을 맡은 디자이너 정구호가 참석해 일정 소개 및 변동 사항 등을 직접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정구호 총감독은 “이번 패션위크는 지난 시즌과 달리 ‘서울패션위크’와 더불어 ‘제너레이션 넥스트 서울(Generration Nest Seoul)’이라고 하는 트레이드 페어를 만들었다. 이렇게 두 개의 커다란 맥락으로 앞으로 패션위크를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소개했다.
더불어 “이는 신진 디자이너들의 트레이드 쇼와 미니 패션쇼가 진행되는 행사로 국내 디자이너들에게 폭넓은 기회를 주며, 해외 바이어들과의 자연스러운 미팅을 유도하는 장을 마련한 것이다”라며 첫 번째 달라진 포인트를 설명했다.
이어 정구호 총감독은 두 번째 포인트로 서울패션위크 멘토 체제 구축에 대해 입을 열었다. 그는 “전문 글로벌 멘토 10명을 섭외했다”라며, “이분들이 패션위크 심사와 함께 참가 디자이너 컨설팅과 멘토링을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정구호 총감독이 밝힌 세 번째 포인트는 참가 자격 기준을 완화했다는 점이다. 지난 시즌에는 5년 이상 비즈니스를 운영한 디자이너만 참가할 수 있었지만 이번 패션위크에서는 1년 이상으로 참가 기준을 낮춰 서울컬렉션 참여 기회를 확대했다.
이와 관련해 정구호 총감독은 “젊은 디자이너들의 참여 기회를 높이기 위해 자격 기준을 낮췄다. 본인이 보여 주려는 콘셉트와 콘텐츠가 확실하다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홍보 매체를 전보다 다각화했다. 다큐멘터리 제작은 물론 온-오프라인을 활용한 전방위 홍보에 박차를 가하며, 신진 디자이너들의 참가와 패션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에 목적을 뒀다.
이에 정구호 총감독은 “우리가 하고자 하는 것은 국내 홍보와 글로벌라이즈(Globalize)다. 해외 이벤트나 더 많은 프로그램을 늘리는 게 내가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라며, “특히 온라인을 통해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가격의 경쟁력보다 디자인성, 개성, 창의성을 강조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패션위크의 마지막 포인트는 I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패션쇼로 도약했다는 것이다. 이는 외국 트레이드 쇼에서 실제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으로 모바일 바코드를 통해서만 입장이 가능하다. 중복이나 본인이 아닐 경우 입장이 제한되며, 철저히 신분 확인을 거치는 만큼 확실한 신분 보장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끝으로 정구호 총감독은 “작년 시즌에는 아쉬움이 많다. 딱 한 가지 만족스러웠던 것은 초대했던 해외 바이어들이 굉장히 만족해 외국에 소문이 좋게 났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패션위크에 대한 인지도도 많이 올라갔다. 트레이드 쇼는 계속 분리 형태로 갈 것이고, 이를 통해 국내 패션 사업이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소망과 더불어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편 ‘2016 F/W 서울패션위크’는 오는 21일부터 26일까지 동대문 디자인플라자(DDP)와 영등포구 문래동 대선제분 공장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사진=서울패션위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