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인터뷰] '계춘할망' 김고은 ① 할머니 윤여정과 손녀 김고은, 그 정이 느껴지는 이유

2016-05-18     권구현 기자

[제니스뉴스=권구현 기자] 지난 2012년 '은교'의 개봉은 상당히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노인과 여고생의 멜로라는 파격적인 소재부터 박범신 작가의 원작이 주는 무게, 정지우 감독의 연출력, 그리고 필연적으로 따라왔던 노출 수위, 그리고 이후 지정됐던 아청법 논란에 언급되기도 했다.

그 후로 4년이 흐른 지금 '은교'라는 영화가 우리에게 남기는 가장 큰 의미는 '김고은의 데뷔작'이 됐다. '은교'로 얼굴을 알렸던 앳된 신인 여배우는 그 해 청룡영화상 신인상을 거머쥐며 충무로의 기대주로 우뚝 섰다. 이후 학업을 마무리 지으며 숨 죽이던 이 배우는 '몬스터'(2014) '차이나타운'(2014) '협녀, 칼의 기억'(2014) 등 범상치 않은 작품으로 관객들과 마주하며 연기 스펙트럼을 넓혀 왔다.

김고은의 2016년은 병신년이 아닌 변신년이라 말할 법하다. tvN 드라마 '치즈인더트랩'의 '홍설' 역으로 화제의 중심에 섰다. "로맨스 작품이 안 들어온다"고 투덜댄 보람이 있었다. 이후 CF까지 섭렵하며 대중적인 이미지를 차곡차곡 쌓아가는 중이다. 그리고 이번엔 '계춘할망'의 '혜지'로 관객을 찾아왔다. 어린 시절 헤어졌던 할머니(윤여정 분)와 다시 만나 교감을 해나가는 그런 역할이다. 관객들에게 가족의 정을, 그리고 따뜻함을 선사할 김고은과 제니스뉴스가 따뜻한 봄날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헤어스타일이 변했네요?
한 달에 두 번은 파마랑 머리를 했어야 해서 머리가 완전히 상했어요. 차기작 기약도 없고 해서 잘라봤어요.

있는데 숨기는 거 아니고요?
전 있으면 있다고 해요(웃음). 원래 텀이 있어도 차기작이 정해진 상태에서 텀이 있었어요. 3개월 텀이 있어도 그 이후에 어떤 작품에 들어간다는 계획이 있으니 쉬어도 마음이 불안했는데, 이번엔 아예 없어서 이 기간을 한 번 잘 즐겨보려고요. 

쉬는 계획은 짰어요?
아직은 홍보기간이니까요. 온전히 쉬는 건 아니니 이거 끝나면 짜봐야죠. 영화도 따뜻한 영화여서 그런지 인터뷰 다니면서도 조금 편안한 거 같아요. 그나마 이번에 연기했던 것이 가장 일상에 가까운 인물이었던 거 같아요.

‘계춘할망’과 마주하게 됐던 과정이 궁금해요.
감독님이 같이 하고 싶다 해주셨는데, 그 당시엔 할머니 이야기인 것도 마음에 걸렸고, 또 처음 시나리오 단계 때는 ‘가출팸’에 대한 이야기를 더 많이 담고 싶어하셨어요. 그 상태에서 전 전작들 때문에 심적으로 피로가 있던 상태여서 “힘들 것 같다”고 이야기를 했었죠. 그런데 이후에 할머니와 손녀의 이야기에 더 집중을 하면서 하게 됐어요.

결국 이번 작품을 하는데 있어서 ‘할머니’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을텐데요.
같이 산다는 건 정말 다른 느낌이에요. 6~7살 때 느꼈던 할머니와 지금 같이 살고 있는 할머니에게 느끼는 사랑의 정도가 다른 것 같아요. 어렸을 때 전 중국에서 살았는데요. 1년에 한 번씩 한국에 와서 할머니를 만나는 게 연중행사였어요. 할머니 집에 오면 자장면도 시켜주시고 놀이공원도 데려가셨고요. 정말 제겐 너무 큰 기쁨이었어요.

그러다 대학생이 돼 할머니와 단 둘이 살게 됐어요. 처음엔 옛날의 손녀의 모습으로 대했는데요. 제가 과가 연극영화과이다 보니 공연도 많았고 밤샘도 하게 됐어요. 그러면 할머니가 잠도 못 주무시고 걱정을 하셨죠. 그 관심이 부담스러운 시기도 있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굉장히 쿨한 관계예요. 지방 촬영을 갈 때, 이번처럼 제주도에 두 달 정도 가게 되면 가끔 전화하고 문자를 해요. 그런 것들을 정리 해놓으니 관계도 편해지고 애정도 더 깊어지더라고요. '계춘할망'을 하면서 그런 감정들 때문에 더 눈물을 흘리기도 했어요.

할머니와 함께 살다 보면 일상생활에서 그 특징들이 묻어 나오기도 할 거 같아요.
언어선택? 예를 들면 '더수기'(‘뒷덜미’의 옛말)라는 말 아세요? 저는 어렸을 때부터 정말 자연스럽게 썼던 말이거든요. "더수기가 뻐근하다"라는 말을 많이 썼어요. 그리고 '루즈'요. '립스틱'이라고 안하고 '루즈'라고 불렀거든요. 최근까지도요. 촬영하다가 급하면 "루즈요. 루즈"라고 말해요. 이번에 '치즈인더트랩' 때까지도 그걸 이상하게 느낄 거라고 생각하질 못했어요. 다들 웃길래 "왜 그러냐"라고 물었더니 "루즈라는 표현을 쓰냐"고 하더라고요. 진짜 할머니 같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요. 전 인정하지 않지만요(웃음).

촬영하면서도 할머니 생각이 많이 났을까요?
사실 촬영할 땐 할머니가 떠오르는 부분은 별로 없었어요. 상황 자체가 달랐으니까요. 그런데 처음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 이미 윤여정 선생님이 캐스팅돼있던 상태였기 때문에 선생님을 대입해서 읽었어요. 이후에 처음 만나 리딩을 하는데 후반부에서 선생님과 저랑 엄청 울었어요. 제가 선생님께 감정적인 친근함이 있었던 거 같아요. 실제 후반부 촬영 때도 눈만 봐도 눈물이 나는 상황이 자꾸 생겨서 그걸 절제하려고 정말 노력했어요.

영화 속에서 그런 것이 보여요. 정말 눈물이 떨어지겠다 하는 신이요.
진짜 열심히 참았어요. 특히 코에 그려주는 신은 컷을 조금이라도 더 늦게 했으면 정말..., 눈물이 가득 찼는데도 안 떨어뜨리려고 정말 노력했던 것 같아요.

할머니는 물론 가족들도 다 함께 시사회에서 영화를 봤다고 들었는데, 뭐라고 하세요?
할머니부터 사촌동생들까지 다 와서 봤어요. 가족들이 많이 좋아해 줬어요. 할머니가 절 보자마자 "잘 봤다. 많이 울었다" 하셨는데, (고개를 갸웃하며)'응? 아닌 것 같은데?'라고 생각했어요(웃음). 사실 저희 할머니는 제 작품을 다 보셨거든요. 그때마다 구구절절이 이야기하시는 편이세요. 그런데 이번엔 말을 별로 길게 안 하시길래 제가 좀 의심을 했어요. 나중에 엄마 아빠한테 물어봤더니 에어컨 바람이 너무 세서 힘들어하셨대요.

말씀하기 쑥스러워서 그러신 거 아닐까요?
아니에요. 에어컨 바람 때문일 거예요(웃음).

윤여정 선생님과 호흡은 어땠나요? 이번 영화에 추천도 하시고, 도시락도 함께 드셨다고 들었는데요.
제가 밥차를 굉장히 좋아해요. 촬영하다가도 '점심 먹읍시다'라는 소리가 들리면 너무 흥분되고 좋아요(웃음). 그렇게 달려갔는데 선생님이 안 오시는 거예요. 그래서 "선생님, 같이 먹어요" 했더니 "도시락을 싸왔다" 하시는 거예요. '도시락?'하고 생각하는데 "너도 같이 먹을래?" 하시는 거예요. 전 일단 밥차에서 밥을 먹고 선생님 도시락을 보니 딱 집밥 반찬인 거예요. 멸치조림 있고, 깻잎장아찌 있고, 스팸도 있고, 젓갈도 있고요. "너도 좀만 먹어라" 하시길래, "제가 밥을 먹어서요. 그럼 조금만 먹어볼까요?"라면서 먹었는데 너무 맛있는 거예요. 전 그날 이후로 밥차를 끊었어요(웃음).

아니, 본인도 좀 싸갔어야죠.
제가 제주도에 있었으니까요. 선생님은 제주도에 계시는 지인께서 싸오시거나, 혹은 서울에서 오시는 지인이 싸오셨어요. 눈치를 보면서 먹을 때도 있었는데 선생님께서 "한창 자랄 나이인데 많이 먹어라"고 해주셔서 "감사하다" 인사드리고 많이 먹었죠.

윤여정 선생님은 포스가 대단하신 연기자신데 어렵거나 무섭진 않았어요?
안 그래도 그런 질문을 많이 받았는데, 무섭게 안 하셨는데요(웃음)? 아무래도 선배님들을 처음 뵐 땐 조심스럽죠. 주로 경청하는 분위기고요. 하지만 촬영하면서 물어봐 주시면 제 이야기도 하게 됐고요. 제가 심정적으로 친근함이 있어서 그랬는지 저희 할머니를 챙기는 느낌으로 선생님께 다가가게 됐어요. 제 시선이 항상 선생님께 가있게 되더라고요. 만약 제 느낌에 '선생님께 가는 햇볕이 세다'는 생각이 들면 제작부에 가서 "파라솔을 준비해야 할 것 같다"고 이야기하는, 그런 식이었던 것 같아요. 

연기적인 호흡은 어땠나요? 
제일 흥분되는 순간이 선생님께서 주시는 감정이 제게 너무 와 닿을 때, 그리고 그 감정을 받아서 제가 우러나오는 연기를 할 수 있었을 때예요. 그만큼 기쁜 일은 없는 거 같아요. 그런 신들이 정말 많았어요. 또 선생님의 배려도 많이 받았어요. 촬영 순서 같은 것도 제가 더 감정에 집중할 수 있게 배려해주셨고요. 촬영 현장에서 감사하다 표현했는데도 그 마음이 다 표현이 안 된 것 같아서 문자로도 감사드렸었어요.

▶ 2편에서 계속


사진=하윤서 인턴기자 h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