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24', '남자판 프로듀스101' 넘어 대박칠 수 있을까?(종합)
[제니스뉴스=이나래 기자] 남자판 ‘프로듀스 101’으로 알려진 ‘소년24’가 드디어 그 베일을 벗었다. 49명의 소년들로 이루어졌으며 이 중 24명을 선발, 1년 동안 공연을 펼친다. 그리고 최종으로 6명의 소년들은 정식으로 아이돌로 데뷔한다.
16일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3컨벤션센터에서 Mnet ‘소년24’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이날 현장에는 CJ E&M 음악부문 안석준 대표, 신상화 콘서트사업본부장, 엠넷부문 오광석 CP, 라이브웍스컴퍼니 이장언 대표, 신혜성, 이민우, 소년24 참가자들(49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소년24’는 CJ E&M 음악부문이 3년 동안 약 250억 원을 투자하고 그룹 신화의 신혜성, 이민우가 소속된 라이브웍스컴퍼니가 매니지먼트를 담당하는 프로젝트다.
오디션과 전문적인 트레이닝을 거쳐 선발된 남자 아이돌 24명이 상설 공연장에서 1년 365일 라이브로 공연을 진행하며 국내 팬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들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CJ E&M 음악부문 안석준 대표는 “한국에 강점이 되는 요소를 결합시킨 장기공연물을 만들고 싶었다. 오래 고민한 결과 핫한 트렌드인 케이팝과 군무를 결합한 기획으로 디지털미디어, 방송, 공연, 음악이 종합된 프로젝트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슈퍼스타K’ ‘K팝스타’ 등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다. 보통 최종 우승자가 탄생하며 마무리되는 오디션 프로그램과 ‘소년24’의 확실히 달랐다.
안석준 대표는 “‘소년24’는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1차 선발, 방송에서 다시 24명의 공연 가능한 지원자 선정, 1년간 공연을 통해서 현실세계에서 만날 수 있다. 여기서 끝이 아니라 24명 중 다시 6명의 아이돌 유닛을 만들어서 실제로 프로의 세계에 내보내는 형태로 완성된다”고 말했다.
그동안 개개인의 역량이 중요시됐던 오디션 프로그램과 다르게 ‘소년24’는 팀워크를 중요시한다. 아이돌그룹의 특성상 여럿이 활동하기 때문에 ‘소년24’는 단합과 협동심을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광석 CP는 “‘소년24’의 큰 특징은 개인의 역량을 보는 개별전이 아니라 유닛 서바이벌이라는 점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유닛 서바이벌을 기획한 이유는 1년 동안 상설공연을 하면서 단합하고 협동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49명 소년들 중 도화지 같은 소년도 있다. 이 소년들에게 어떤 그림과 색을 입히느냐에 따라서 좋은 한류스타로 자랄 수 있을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소년24’는 일본의 아이돌 AKB48과 많이 닮았다. 이에 신상화 콘서트사업본부장은 “가장 큰 차이점은 남자와 여자라는 차이점이다”라고 입을 열었다.
신상화 본부장은 “‘소년24’는 성장에 포인트를 뒀다. AKB48은 데뷔해서 브랜드로 자리 잡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CJ E&M의 장점은 방송, 공연, 음악을 총망라해서 시스템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이어 “AKB48은 일본 팬 위주라면 우리는 글로벌하게 구성원을 뽑았다. 방송도 글로벌방송으로 시작해서 글로벌프로젝트로 진출할 것이다. AKB48은 팬들만 보지만 우리는 대중이 봐도 좋은 공연을 만들어서 외국인 관광의 메카가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또 신상화 본부장은 “AKB48은 큰 투자보다는 소득을 위해 티켓값도 저렴하다. 우리는 그것보다 퀄리티를 높이고 케이팝 대표 상품이 되도록 최고의 품질의 작품을 만든다고 생각한다. 과감한 투자를 통해 케이팝 대표 상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선발된 24명의 소년들은 CJ E&M은 브로드웨이식 상설 케이팝 공연 프로그램인 ‘소년24’로 활동한다. 앞으로 ‘소년24’는 중국판, 일본판, 아시아판 등으로 제작되며 세계적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글로벌한 케이팝 아티스트를 길러내겠다는 포부로 시작된 ‘소년24’. 우리가 꿈꾸는 소년들의 모습은 과연 어떨까. 꽃길을 걷게 될 24명의 소년들은 대중들의 손에서 탄생하게 된다. 오는 18일 밤 11시 30분 첫 방송.
사진=하윤서 기자 h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