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인터뷰] 데무 박춘무 디자이너 “30년 생존 비법? 내 고집”
[제니스뉴스=오지은 기자] 30년, 박춘무가 브랜드 데무를 이끌어 온 시간이다. 그 긴 시간 동안 많은 패션 브랜드가 문을 닫기도, 새로 생겨나기도 했다. 변화의 폭풍 속에서 데무는 버텼다.
다양한 궁금증을 안고 데무 박춘무 디자이너를 만났다. 런웨이 위에서 봤던 무채색의 의상 속에서 나타난 박춘무는 카리스마 그 자체였다. 여러 후배 디자이너들을 이끌며 컬렉션 하나하나 직접 준비하면서 자연스레 생겨난 카리스마였을 것이다.
이야기를 나누기 전 박춘무는 패션계의 대모다운 강렬한 카리스마를 느끼게 했다. 하지만 제니스뉴스와 이야기를 나눈 박춘무는 패션을 굉장히 사랑하고 유쾌한 사람이었다. "패션이 내 삶"이라는 박춘무와 나눈 패션 이야기를 이 자리에 전한다.
Q. 데무의 시작이 궁금하다.
첫 론칭 때는 패션 업계가 내셔널 브랜드, 부티크, 양장점 등을 하는 추세였다. 브랜드 이름을 지을 때도 박춘무 패션, 박춘무 부티크 등 이렇게 지어야 할 때였는데, 나는 그게 싫었다. 그래서 내 이름 끝 자를 딴 ‘무’로 브랜드를 처음 시작했다.
Q. 데무가 30주년을 맞았는데 소감 한마디 듣고 싶다.
정말 힘들게 일궈낸 성과다. 데무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결은 내 고집 때문이라고 생각을 한다. 나도 다른 브랜드처럼 손님들의 비유를 맞춰가며 디자인했다면 아마 없어졌을 것이다. 내 고집으로만 디자인하다 보니 힘들 때도 많았지만 마니아층도 생겨 이렇게 30주년을 맞을 수 있었다. 내 옷을 사랑해주는 고객들에게 정말 감사하다.
Q. 데무가 30년을 유지해올 수 있었던 비결은 뭔가?
팔아서 남기길 원하고 유행만 쫓는 디자인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내 나름대로 고집을 갖고 나만의 디자인을 했다. 가장 고집을 부렸던 것이 컬렉션이었다. 컬렉션이 없었으면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이 없었을 것이고, 그러면 버티기 힘들었을 것이다. 컬렉션을 위해 끊임없이 개발한 것이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30년을 이끌어 올 수 있었던 비결이 아닌가 싶다.
Q. 2018 S/S 컬렉션 콘셉트가 궁금하다.
‘30년 전 데무’다. 기존의 마니아층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돌아가서 더 밝고 젊고 생기 있는 데무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또 2018 S/S 컬렉션은 수출용인 Y라벨을 위주로 진행하고 있다. 수출용인 만큼 데무를 글로벌 브랜드로 만들고 싶은 포부를 담았다.
Q. 데무의 컬렉션은 대부분 모노톤이었는데, 이번 'Y라벨'은 비비드 컬러가 주를 이룬다. 변화의 계기가 있나?
Y라벨에 비비드한 컬러가 들어가 있긴 하나, 그래도 여전히 모노톤 의상이 많다(웃음). 기존의 데무가 가진 묵직하고 분위기 있는 모노톤 보다는 새 라인을 통해 생기 있고 밝은 느낌을 주려고 했다.
Q. 해외 컬렉션과 서울 컬렉션의 차이가 있나?
요즘은 차이가 거의 없다. 차이점을 꼽자면 장소의 차이 정도다. 서울 컬렉션의 경우는 DDP에 대부분 디자이너가 모여 쇼를 하지만 미국, 파리 같은 경우는 자유롭게 하고 싶은 곳에서 흩어져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Q. 특별히 애정하는 컬렉션은?
가장 기억에 남는 컬렉션은 파리에서 제일 처음 했던 컬렉션이다. 또 1995년에 한 컬렉션도 기억에 남는다. 한 기업의 지원을 받아 디자이너 다섯 명이 파리로 떠났다. 그들과 함께한 첫 컬렉션은 전시로 진행했는데, 그 컬렉션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짐이 너무 많아서 비행기를 못 타기도 하는 등 정말 많은 에피소드가 있었던 컬렉션이었다.
Q. 주로 어디서 디자인 영감을 받는지 궁금하다.
출장을 다니다 보면 주로 미술관, 전시 등을 보러 간다. 작품에서 많은 영감을 받는다. 그리고 평소에도 좋은 음식을 먹고 좋은 것들을 보는 등 생활 전체적인 것이 나의 영감이 된다.
Q. 사무실을 보니 그림이 가득하다.
그림은 내게 돌파구 같은 존재다. 주변에 물감이 많아서 우연히 시작했는데, 이제는 취미로 계속 그리고 있다. 팔 마음이 없어서 그냥 마음이 가는 데로 편하게 그린다. 옷은 팔아야 한다는 스트레스가 있지만 그림은 그렇지 않아서 부담이 없다.
Q. 30주년을 맞아 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들었다.
데무의 30년을 정리할 것이 필요했다. 1988년 연구원을 졸업하고 데무를 론칭하는 첫 순간부터 현재까지 담은 책이다. 30년을 정리하면서 당시의 자료도 찾아보고 추억을 회상하기도 하는데 정말 재미있는 작업이다. 요즘 기분이 살짝 처졌었는데, 자료 정리를 통해 첫 순간으로 돌아간 것 같아 기분이 업되고 있다. 책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개인전을 하라고 권해서 지금 작품도 모으고 있다.
Q. 30년간 디자이너 브랜드를 고수한 디자이너로서 후배들에게 조언 한마디 한다면?
고집을 갖고 좋아하는 옷을 계속했으면 좋겠다. 본인이 좋아하는 것을 해야 잘 할 수 있다. 물론 처음은 힘들 수 있다. 좋아하는 것을 포기하지 말고 깊이 있게 했으면 좋겠다. 굉장히 열심히 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 것이다.
Q. 박춘무에게 패션이란?
생활이다. 평생을 패션만 해서 다른 것을 잘 모른다. 데무 전에 10년 동안 옷 장사를 했다. 총 40년을 패션에 바친 셈이다. 어떨 때는 패션이 너무 싫고, 또 어떨 때는 너무 좋다. 그래도 패션이라는 한 우물만 파다 보니 이렇게 30주년을 맞을 수 있었다.
Q. 끝으로 앞으로의 목표가 궁금하다.
데무를 글로벌하게 만드는 것이 내 목표다. 나름대로 감각이 늙지 않게 그림도 그리고 전시도 하면서 재미있게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또 아들, 딸이 패션을 하고 있기 때문에 데무를 쭉 이끌어 나가줬으면 좋겠다. 나는 패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데무와 평생 함께할 것이다. 데무가 다른 브랜드들에게 본보기가 되는 세계적인 브랜드가 꿈이다.
영상 촬영=심원영 감독 simba10@, 강현우 PD hw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