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리뷰] ‘강철비’가 시사하는 한반도의 현실
[Z리뷰] ‘강철비’가 시사하는 한반도의 현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변진희 기자] 정치적인 이슈를 소재로 하는 영화는 참 많다. 그 가운데 ‘강철비’가 시사하는 바는 조금 남다르다. 한국 영화로는 최초로 핵전쟁을 스크린으로 구현했으며, 여기에는 남과 북이 처한 다양한 상황들이 내재돼 있다.

‘강철비’는 북한 내 쿠데타가 발생하고 북한 권력 1호가 남한으로 긴급히 내려오면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담은 첩보 액션 블록버스터 영화다. ‘변호인’의 양우석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으며, 자신이 쓴 인기 웹툰 ‘스틸레인’을 근간으로 해 ‘강철비’를 탄생시켰다.  

내로라하는 배우 라인업은 ‘강철비’의 자랑거리 중 하나일 테다.

무엇보다 남한 외교안보수석 곽철우로 분한 곽도원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정치적인 사안에 대해선 묵직하게 제 역할을 소화하고, 엄철우(정우성 분)를 향한 가슴 뜨거운 정을 보여준다. 자칫 무거울 수 있는 영화에 웃음코드를 제공하는 것도 곽철우다. 그가 차 안에서 지드래곤의 노래를 흥얼거리는 장면은 드라마 ‘유령’ 속 ‘트윙클’을 추던 권혁주(곽도원 분)를 다시금 떠올리게 한다.

정우성은 북한 최정예요원 엄철우로 분해 유창한 평양 사투리와 액션 연기를 선보인다. 현직 대통령과 차기 대통령을 맡은 이의성과 이경영, 북한 정찰총국장 리태한으로 분한 김갑수의 열연까지 더해져 몰입도를 높인다.  

실제 상황을 방불케 하는 폭격신 연출도 돋보인다. 미술, 소품, 군사, 심지어 의료부분까지 각 분야 전문가들의 조언을 얻으며 영화를 준비했다는 양우석 감독의 세심한 연출이 빛났다. 여기에 막대한 분량의 CG 구현은 영화의 재미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양우석 감독의 ‘강철비’ 기획 의도는 영화를 통해 북한과 북한에 사는 동포, 현재 남북이 가지고 있는 정치 구조들, 남북을 바라보는 세계의 다양한 시각들을 관객들과 함께 공유하고자 함이었다. 감독의 의도가 잘 반영된 덕분에 영화를 보는 내내 ‘그래,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겠지’라며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물론 엔딩 장면을 접한 일부 관객들은 고개를 기웃할 수도 있겠다. 영화는 대한민국에서 전쟁이 일어난다면 그건 핵전쟁일 것이고, 북한이 전쟁을 일으킨다면 그건 내부 군사 세력의 쿠데타 때문일 것이라는 상상에서 출발했고 여기서 도출된 결론이 영화 말미에 나타난다.

해당 장면이 조금은 국제적인 정세와 다를 수도 있어 논쟁이 될 수도 있겠지만, 작품에 동참한 정우성은 “’강철비’를 통해 좋은 담론이 형성되길 바란다”고 바랐다. 좋은 담론이던 그 반대던, 어쨌든 ‘강철비’는 관객들에게 다양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한다. 연말 ‘신과 함께’, ‘1987’ 등 신작 공세 속 ‘강철비’가 특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은 분명하다.

 

사진=NEW

변진희 기자
변진희 기자

bjh123@zenithnews.com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