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오지은 기자] 헤라서울패션위크가 다시 돌아온다. 매년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서울패션위크인 만큼 많은 패션인의 관심이 모인다. 이번 시즌 헤라서울패션위크는 시민 참여도를 높이고 신진 디자이너 유치와 홍보 플랫폼 확장에 나선다.
2018 F/W 헤라서울패션위크 기자간담회가 6일 오전 서울 동대문 디자인플라자 살림터 3층 나눔관에서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정구호 헤라서울패션위크 총감독, 김윤희 서울디자인재단 패션문화본부 본부장이 참석했다.
이번 시즌 서울패션위크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관람객과 만날 예정이다. 특히 헤라서울패션위크의 총감독을 맡고 있는 정구호는 “신진 디자이너 지원 및 홍보 플랫폼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구호 총감독은 “이번 시즌부터 해외 글로벌 프로그램을 확장해보자는 취지로 익스체인지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서울뿐 아니라 한국의 인재들을 해외로 내보내고 글로벌하게 키워보고자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구호 총감독은 “일 년에 두 명의 디자이너를 선발해서 해외 유명 패션위크에 참여시키고, 해외 디자이너를 초대해서 해외 컬렉션을 서울에서 만나보게 만들려고 한다”라며, “올해 안에 두 명의 디자이너를 런던패션위크에 세울 예정이다. 그리고 두 명의 런던 신인 디자이너를 초대해서 서울 컬렉션에 올릴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런던 패션위크를 선정한 이유에 대해 정구호 총감독은 “런던의 패션 하우스만큼 신인 디자이너에 중점을 둔 개발 시스템이 있는 곳이 없다. 그래서 런던을 선정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이번 헤라서울패션위크는 김혜순 한복 디자이너의 오프닝 컬렉션을 시작으로 디자이너 브랜드 37개와 2개 기업이 쇼에 오른다. 특히 정구호 총감독은 “김혜순 디자이너의 쇼에 록 밴드가 함께 공연할 예정이니 많은 기대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한 헤라서울패션위크는 전문 수주상담회인 ‘제너레이션넥스트 서울’을 지난 2016년부터 꾸준히 진행 중이다. 이번 제너레이션넥스트 서울에는 90여 개의 디자이너 브랜드 및 신진 디자이너의 수주상담회와 패션쇼가 13회 개최될 예정이다.
더불어 세미나 프로그램 역시 강화했다. 이무열 디자이너, 유민주 파티시에, 남현범 사진작가 등 패션 외의 분야에서 활동 중인 전문가를 섭외해 ‘하겐다즈 콜라보 슽??및 패션트렌드’, ‘디저트와 패션-디저트와 라이프’, ‘20대의 장인정신’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한다. 시민 참여형 행사를 늘림으로써 서울패션위크를 보다 대중화하겠다는 취지다.

지난 2000년 첫 시작을 알린 서울패션위크는 디자이너와 바이어를 위한 컬렉션의 모습을 띠었다. 이후 2015년 5월 서울패션위크 최초로 정구호 디자이너를 총감독으로 선임하며 시민도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이에 대해 “축제 개념이 되면서 쇼가 위축되는 느낌도 있다”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정구호 총감독은 “저는 디자이너기 때문에 시민 축제보단 디자이너에게 가는 이익에 집중하는 편이다. 그러나 두 가지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라며, “패션위크에 참가하는 브랜드 중 백화점에 매장을 가진 브랜드는 9개 밖에 없다. 아직 비즈니스 활성화가 열악한 디자이너가 많다는 소리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이러한 플랫폼을 활용해 사업이 발전할 수 있게 만들고 싶다. 해외도 중요하지만 로컬 세일이 가장 중요하다. 축제로서의 행사도 마찬가지로 로컬 세일을 확장시키기 위해 하는 것이다. 두 가지를 적절히 맞추는 것이 목표다”라고 밝혔다.
이처럼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헤라서울패션위크다. 디자이너의 컬렉션뿐만 아니라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늘리면서 세계 패션위크 못지않은 활발한 모습을 띠고 있다. 이번 헤라서울패션위크는 어떤 모습일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패션인들과 만날지에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다.
한편 2018 F/W 헤라서울패션위크는 오는 19일부터 24일까지 동대문 디자인플라자에서 진행된다.
사진=서울디자인재단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