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현장] ‘용의자 X의 헌신’, 원작의 힘에 뮤지컬의 매력 더했다(종합)
[Z현장] ‘용의자 X의 헌신’, 원작의 힘에 뮤지컬의 매력 더했다(종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임유리 기자] 소설과 영화를 통해 큰 인기를 얻은 ‘용의자 X의 헌신’이 국내 창작 뮤지컬로 재탄생했다. 

뮤지컬 ‘용의자 X의 헌신’의 프레스콜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에서 열렸다. 행사에는 정태영 연출, 정영 작가, 원미솔 작곡가를 비롯해 배우 최재웅, 에녹, 신성록, 송원근, 조성윤, 김지유, 임혜영, 장대웅, 조순창, 류정훈, 안소연, 김찬종이 참석했다. 

‘용의자 X의 헌신’은 현대 일본 추리소설을 대표하는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이다. 지난 2006년 국내 발간 당시에도 큰 인기를 얻었다. 한국, 중국, 일본 각국에서는 영화로도 제작됐다. 

이렇듯 이미 검증받은 원작을 국내에서 순수 창작 뮤지컬로 재탄생시켰다. 지난 2014년부터 개발작업을 시작했다. 2016년에는 대명문화공장의 개관 2주년 신규 콘텐츠 개발 지원 프로젝트의 작품으로 선정돼 사전 리딩 공연을 마쳤다. 이후 약 2년 동안의 추가 개발 기간을 거쳐 최종본이 완성됐다. 

작품의 음악을 맡은 원미솔 작곡가는 “영화, 소설에선 감정의 기승전결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뮤지컬화 한다고 했을때 사실은 많은 고민을 했다. ‘왜 뮤지컬일까’부터 시작했다”라고 고민했던 부분을 밝혔다. 

이어 원미솔 작곡가는 “곡 안에서 느껴지는 감정의 기승전결을 통해서 인물의 내면을 섬세하게 관찰할 수 있는 장르가 되지 않았나 싶다. 어떤 음악과 장르를 통해서 뭔가를 보여 드리고, 욕심을 실현한다는 생각은 철저히 배제하고 가장 어울리는 음악, 가사들이 가장 자연스럽게 객석에 와닿는 음악을 쓰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라고 음악을 만들면서 중점을 둔 부분에 대해 설명했다. 

작품은 천재 수학자 이시가미가 옆집 여자 야스코의 살인을 알게 되면서 시작된다. 사건을 철저히 은폐하기 위한 수학자 이시가미와 사건의 의문을 풀기 위한 물리학자 유카와의 두뇌싸움이 돋보이는 이 작품은 치밀한 미스터리와 탄탄한 구성으로 팽팽한 긴장감을 조성한다.

하지만 작품이 오래도록 많은 사랑 받는 이유는 단지 그것뿐만이 아니다. ’용의자 X의 헌신’은 미스터리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그 기저에 휴머니즘이 짙게 깔려 있다. 

이에 정영 작가는 “원작 소설과 영화를 봤을 때 가장 강렬하게 와 닿은건 인간의 고독이었다. 정답을 찾을 수 없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그 고독한 인간이 어떤 위로를 받고, 그 위로를 통해서 사람들과 다시 무언갈 할 수 있는 희망을 얻는 그런 휴머니즘이 작품의 기저에 깔려있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정영 작가는 “이시가미의 사랑은 남녀의 사랑이라기보단 지극한 인간애라고 생각했다. 그 인간애가 기저에 깔린 작품이다. 그 정서를 통해서 관객이 공감할 수 있고, 감동할 수 있는 코드를 살려내려고 노력했다”라고 밝혔다. 

이시가미 역을 맡은 최재웅 또한 이시가미의 사랑에 대해 “사랑이라기보단 워낙 고독한 인물이기 때문에 인간애에 대한게 큰것 같다. 이시가미는 소설, 영화에서도 그렇지만 일반적인 남녀간의 사랑이 아니라 진짜 사람을 좋아하는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야스코뿐만 아니라 야스코의 딸 미사토에게도 인간으로서 애정을 가진다”라고 전했다. 

유카와 역의 신성록은 작품에 대해 “관객이 평가해주는 부분이긴 하지만 개인적으론 여태까지 많이 보아온 형식의 작품은 아니다. 자신 있게 말씀드리는 건 공연 2주차에 접어드니까 15년 정도 뮤지컬 하면서 느껴보지 못한 감정을 느끼고 있다. 관객도 똑같이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싶다”라고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널리 알려진 소설을 원작으로, 뮤지컬만의 매력이 더해졌다. 여기에 실력파 창작진과 배우들이 힘을 실었다. ’용의자 X의 헌신’은 오는 8월 12일까지 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에서 만나볼 수 있다. 

 

사진=달컴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