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이나래 기자]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이 작년보다 더 강력해져서 돌아왔다. 늘어난 일정만큼 콘텐츠는 더욱 확장됐고, 역대급 라인업으로 코미디의 한류를 노리고 있다.
4일 오후 서울 용산구 동자동 동자아트홀에서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현장에는 김준호 집행위원장, 전유성 명예위원장, 조윤호 이사, 윤형빈 이사, 송은이 연출, 홍인규, 김지선, 박성호, 김원효, 김재욱, 이종훈, 조수원, 송중근, 이동윤, 임우일, 김경아, 조승희, 김기리, 김성원, 변기수, 박휘순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올해로 4회를 맞는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아시아 유일의 국제 코미디 페스티벌로 국내는 물론 해외의 다양한 코미디 콘텐츠를 바탕으로 코미디산업 활성화 및 코미디 한류 열풍을 주도해나갈 예정이다.
김준호는 “오는 8월 26일부터 9월 3까지 9일간 이어진다. 기간이 늘어난 만큼 다양한 콘텐츠를 보강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달라진 점은 개그맨들이 좀 더 많이 뭉쳤다. 개그맨 선후배가 살인성인으로 지원해줬다. 재능기부라는 좋은 제도로 많이 도와줘서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연출을 맡은 송은이는 “올해는 11개국 30개 팀이 공연한다. 개그맨들이 본인의 브랜드를 가지고 많은 공연을 만들었다. 다른 공연장을 바라보면서 할 수 있도록 새로운 브랜드 콘텐츠가 만들어졌다”고 전했다.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이 가장 달라진 점 중 하나는 4일에서 9일로 두 배 이상 길어진 기간이다. 길어진 기간을 더욱 알차게 채우기 위해 폭넓어진 코미디 공연으로 기존의 콩트, 넌버벌 위주의 공연에서 업그레이드 돼 올해는 뮤직 코미디, 토크 콘서트, 스탠드업 코미디 등 다양한 콘텐츠로 보강했다.
“콘텐츠 보강으로 힘들지 않았냐”는 질문에 김준호는 “운이 좋았다. 문화부에서 1회에는 1억을 지원받았는데 지금은 10억을 지원받았다. 송은이 연출가가 하청업체가 돼서 총 연출을 맡아서 3~4배 효과를 내주고 있다”고 만족했다.
김준호는 “윤형빈은 홍대 코미디 위크에서 콘텐츠 개방을 많이 했다. 코미디 위크도 끝났으니 그 콘텐츠로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에 가자고 했다. 해외 코미디언도 한국에 한 번 오면 또 오고 싶어 한다. 그렇게 콘텐츠를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송은이는 “부산에서 하는 국제 코미디페스티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페스티벌 하나가 도시에 영향을 주고 상업적으로 같이 발전할 수 있다. 코미디가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이어 “페스티벌을 4일 하면 공연을 보러 와서 다른 여행에 이어지는 효과가 적은데 9일이라는 기간은 공연도 보고 부산 즐기고 대한민국 즐기는 코미디로,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상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은이는 “9일이라고 해서 콘텐츠를 무리해서 늘리는게 아니라 코미디언이 삼삼오오 뜻을 모아서 만들었다. 섭외는 전혀 어렵지 않았다. 축제를 바라보는 코미디언의 마음이 하나라는 걸 확인했다”며 선후배 간의 훈훈한 정을 드러냈다.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의 개막식에는 박명수, 정성화, 하하&스컬의 화려한 축하무대가 이어지고, 예능 셀럽이 대거 참석해 대중성을 강화했다. 공연팀 역시 이경규, 이성미, 김영철, 유민상, 김민경, 오나미 등 역대급 라인업을 준비했다.
국내 코미디언과 해외 코미디언이 하나가 되어 노는 페스티벌로 코미디산업 활성화를 노리는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한국을 대표하는 페스티벌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하윤서 기자 hays@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