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부산, 권구현 기자] 꿈 같은 시간을 보낸 배우가 있다. 바로 한예리가 그 주인공이다. 한예리는 이름부터 봄날의 꿈인 영화 ‘춘몽’을 통해 제 21회 부산국제영화제를 거닐었다. 영화제의 개막작으로 레드카펫을 밟았고, 이후 각종 행사에 참가했다.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한예리. 그리고 이젠 그 꿈에서 깨어났다.
영화 ‘춘몽’ 속의 예리는 현실의 한예리와는 사뭇 다르다. 작은 술집을 운영하며 장애인 아버지를 모신다. 화려한 삶과는 분명 거리가 있다. 하지만 예리의 주변을 맴도는 3인방에겐 최고의 여신이다. 그 세 남자는 바로 익준, 종빈, 정범이다. 유명 감독인 양익준, 윤종빈, 박정범이 실제로 분한 이들은 예리와 함께 하나의 가족처럼 움직인다.
영화 안에서도 그리고 영화 밖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은 한예리와 제니스뉴스가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만났다. 여러 행사로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중이었지만 표정은 매우 밝았던 한예리. 부산국제영화제 레드카펫이라는 꽃길을 건너 '춘몽'이라는 꿈길을 걷고 있는 그였다.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정말 열일을 했다. 소감은?
정말 꿈 꾼 기분이 들었다. 막연하게 개막작에 선정됐다고 했을 때 그냥 개막작이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레드카펫을 밟으니 기분이 이상했다. 그런 기분일 줄은 몰랐다. 기분이 너무 좋았고, ‘춘몽’이 부산영화제에 힘이 되고 보탬이 되고 그런 영화가 된 것 자체가 너무 기쁘다.
여러 번 보면 좋을 영화라고 했다. 추천 횟수는?
많이 볼수록 좋긴 하지만, 한 열 번 정도? 하하하.

감독 세 명과 함께 연기했다. 차기작을 노리는 배우의 영업 측면에선 정말 좋은 영화다.
그런 말씀을 많이 하는데 오히려 걱정이 많았다. 배우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인데 감독들보다 못 하면 큰일이었다. 감독님들 입장에선 ‘작품을 망치면 안 되겠다’는 부담감을 갖고 계셨던 것 같다. 그래서인지 세 분 모두 준비를 많이 했다. 그래서 오히려 저도 자극이 많이 됐었다.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어쩌면 세 명의 감독에게 연기를 평가 받는 기분도 들었을 것 같다.
그런 생각하면 연기가 안 됐다. 그래서 그냥 ‘세 사람과는 떨어져서 연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영화 안에서 ‘예리’라는 인물 자체가 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들과 달라야 한다’고 생각했다. 연기로 힘겨루기 같은 것들은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다. 차라리 ‘내 안에서 다른 것들을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장률 감독과 세 명의 감독 사이도 궁금하다. 작품에 대한 대화를 나눌 때 어딘가 감독 대 감독으로 이야기했을 것 같다.
장률 감독님과는 어떤 대화를 나누셨을지는 모르겠다. 오히려 저는 감독들이 ‘배우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저 또한 배우라는 생각을 가지고 감독들과 함께 했었다. 그냥 '춘몽' 안에서 캐릭터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는 것처럼 진행됐다.
감독들과 연기 호흡은 어땠나?
모두가 되게 똑똑하다. ‘전체 그림을 보는 사람들과 그 인물만 파는 배우들과는 조금 다르다’는 생각을 했다. 전체 그림을 더 많이 생각하기 때문에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이 있을 것 같다. 실제로도 이 정도의 타이밍에 어떤 대사를 그런 뉘앙스로 쳐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을 했다. ‘확실히 연출을 해봤던 사람들은 되게 좋겠다. 배우도 연출을 했던 배우들이 확실히 연기에 도움이 되겠다’라는 생각이었다.
그렇다면 연출 욕심을?
전혀 없다. 오히려 장률 감독과 함께 하면서 ‘그냥 배우만 해야지’라 생각을 했다. 감독님의 방식이 너무 좋았다. 어떤 지점으로 저희를 데려가실 때 빨리 가르쳐주기 보다는 오랫동안 기다려주는 타입이다. 이 방식이 정말 지혜롭다 생각했다. 그래서 더 자유롭게 뭔가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 같다. 연기에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는 감독님의 방법이 되게 좋았다. 이 방식은 큰 어르신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전혀 연출할 생각이 없다.

“춤과 영화를 접목시킬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인터뷰를 한 적 있다. 이번 영화 엔딩에 나오는 춤도 직접 안무를 했다.
안무라고 말하기도 사실 부끄럽고 쑥스럽다. 그냥 간단한 율동과 동작이다. 제가 잘 할 수 있는 부분이어서 쉽게 생각했었다. 고도의 안무 동작이 아니어도 된다는 디렉팅도 있었다. ‘예리를 잘 표현하고 정서적인 느낌을 더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만들었다. 욕심을 낸 건 아니고 그저 가볍게 만들었다.
그렇기엔 영화적으로 참 중요한 춤이었다.
춤이라는 장르는 언어보다 확실한 표현은 아니다. 하지만 많은 말보다 함축적인 의미를 확실히 가지고 있는것 같다. 나라고 생각했다. 그 장면에 대해 저는 ‘현실 같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춤이 그 몫을 한 것 같다.
유연석이 등장하고 그 신이 시작됐다. 너무 재미있었다.
나도 재미있었다. 제 이상형인 몸도 건강하고 신체도 건강한 그런 사람으로 나왔다. 그래서 더 꿈 같았다. 실제로 나타난 게 아닐 수도 있다.
이상형을 언급하는 것이 제일 웃겼다. 영화 속에 언급하는 ‘몸도 신체도 건강한 사람’은 평소 한예리 씨가 이야기하는 본인의 진짜 이상형이었다.
감독님이 이상형에 대해 물어봤다. 그래서 여느 때처럼 답했다. 그런데 그게 시나리오에 그대로 살아있었다. 묘하게도 제 이상형과 그 상황이 너무 웃기게 떨어졌다. 세 사람 다 제 이상형과는 거리가 있는 인물이라 많은 웃음을 낳은 것 같다.
복 받았다. 세 명의 남자와 한 명의 여자에게 사랑 받는다.
처음에 감독님은 세 명의 감독님이 주인공이라고 했다. 시나리오에서도 그랬다. 하지만 점차 바뀌면서 예리가 최대의 수혜자가 됐다. 우리 영화가 총 17회차를 찍었는데 전 모든 회차에 다 나갔다. 그러다 보니 감독님이 갑자기 생각이 났을 때 저와 더 촬영할 수 있는 환경이 된 것 같다. 그래서 분량이 늘어난 것 같다. 당초 감독님께서 처음부터 촬영 현장에 있어줬으면 좋겠다고 하셨다. 무언가 자기가 더 찍을 게 있으실 것 같다고 하셨다.

장률 감독님이 한예리 씨에 대한 칭찬이 대단하다. '장률 감독의 페르소나'라는 말도 나온다. 다음 작품도 함께할 계획이 있을까?
아주 조금 나오는 역할로 나올 것 같다. 하지만 정확하진 않다. 감독님이 영화를 언제 찍으실 지 모른다. 하하.
본인이 느끼는 장률 감독의 매력은?
모든 캐릭터들이 사랑스럽고, 사랑해줄 수 밖에 없다. 애정도, 공감도 많이 가고 따뜻한 사람들이 많이 나와서 좋다. 나쁜 사람 하나 없이. 그게 어떤 부분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이 사는 모습들을 애정 어리게 잘 담아주는 것 같다.
이번 영화가 오랫동안 슬픈 감정으로 남았다고 했는데.
사실 찍을 때는 잘 몰랐다. 두 번 슬펐는데, 한 번은 영정사진 찍을 때 그랬다. 예리가 준비를 하고 사진관 안으로 들어갈 땐 괜찮았는데, 앉아서 사진 찍을 땐 너무 눈물이 났다. 그리고 편집은 됐지만 주영과 마지막을 고하는 장면이 더 있었는데, 그 장면을 찍을 때 슬퍼서 눈물이 났다. 혼자서 준비하는 이별이어서 그런지 더욱 슬펐다.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을 소개한다면?
딱 어떤 장면이라기보단 주막 속 설정이 너무 좋았다. 조르르 앉아 있는 모습이 더 가족 같았다. 예리가 이들한테 더 밥도 해주고, 약도 챙겨주고 해야 하는데, 갑자기 큰일이 생겼을 때 마음이 짠했다.
사진=스톰픽쳐스코리아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