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연나경 기자] 결혼과 출산으로 오랜만에 드라마 현장에 복귀했다. 그래서 KBS2 ‘김과장’ 종영 뒤 다소 지쳤을 것이라 예상했는데, 인터뷰로 만난 배우 남상미는 너무도 활기 찼다. 오히려 촬영장에서 많은 에너지를 얻은 듯했다.
남상미는 다른 배우들처럼 “‘김과장’ 촬영장의 분위기가 드라마를 이끄는 원동력이었다”고 말했다. 이재훈 PD의 열린 마인드와 배우들 간의 합이 촬영장 분위기를 좋게 만들었다. 그 덕에 남상미는 공백을 딛고 ‘김과장’을 통해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남상미는 최근 종영한 KBS2 ‘김과장’에서 TQ그룹 경리부 대리 ‘윤하경’ 역을 맡았다. 그가 연기한 ‘윤하경’은 다른 드라마 속 여주인공처럼 소비되지 않았다. 서율(이준호 분)에게 야구 배트를 휘두르고 똑 부러지게 할 말을 다 하는 윤하경은 ‘김과장’ 속 또 다른 의인이었다.
최근 제니스뉴스가 서울 강남구 서래마을 인근의 한 스튜디오에서 남상미를 만났다. ‘김과장’ 현장의 좋은 에너지를 그대로 품고 인터뷰에 임한 남상미의 이야기를 지금부터 전한다.

Q. ‘김과장’을 통해 성공적으로 복귀했어요.
‘김과장’을 만날 수 있어 정말 감사했어요. ‘김과장’을 통해 남상미가 배우라는 사실을 알릴 수 있어서 좋았어요. 그리고 저 스스로 제가 배우였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시작이 정말 좋았던 것 같아요.
Q. 윤하경 캐릭터, 이미지 변신을 염두에 두고 선택했나요?
이미지 변신보다 ‘김과장’이 주는 메시지가 좋았어요. 지금을 살아가는 분들에게 필요한 드라마라는 생각이 들었고, 윤하경과 제가 닮아서 더 많이 끌렸어요. 윤하경도 저도 씩씩하고 정의로운 면이 있거든요.
작품을 통해서 씩씩한 모습을 안 보여드렸던 건 아니었는데, 저는 시청자의 기억 속에서 다른 이미지가 더 큰 배우였더라고요. 하경이를 통해 평소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서 좋았어요.
Q. 직장 생활을 해보지 않으셔서 ‘윤하경’을 연기하기 위해 더 신경 썼을 것 같아요.
틀에 갇힐 수 있다고 생각해서 비슷한 작품을 참고하지는 않았어요. 대신 연기를 하면서 제가 생각하는 답을 찾아갔죠. 아, 포스코 견학은 했어요. 직장생활을 한 번도 안 해봤으니까 어떻게 일하시는지 알아야겠다고 생각했고, 그곳에서 직장인분들에게 사소한 것까지 물어봤어요.
Q. 윤하경이 ‘김과장’의 여주인공이었는데, 로맨스가 없어서 아쉽지는 않았나요?
사실 제가 제작진께 먼저 “우리 드라마가 오피스 활극이니까 로맨스가 없는 것이 나을 것 같다”고 이야기했어요. 그걸 수용해주셔서 정말 감사했고요. 또 ‘김과장’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를 계속 유지해주셔서 감사해요. 보통의 경우는 시청률이 떨어지면 시청률을 올리기 위해 다른 길로 갈 수 있는데 ‘김과장’ 제작진께서는 한길로만 가셨어요.

Q. ‘김과장’의 현장 분위기가 좋아서 촬영하면서 흥이 많이 났을 것 같아요.
성향이 맞지 않는 사람들끼리 작업을 하면 태가 많이 나요. 그런데 ‘김과장’ 현장에는 좋은 사람들만 있었어요. 그 사람들의 관계가 끈끈하기도 했고요. 그런 사람들과 함께 좋은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하다 보니 드라마가 더 진정성 있게 그려진 것 같아요.
Q. 제작진이 열린 마인드로 배우들의 의견을 잘 수용해줬다고 하던데요.
캐릭터들이 가진 위트를 잘 살려주셨어요. 또 사무적인 대사를 평범하게 촬영하고 애드리브를 더 특별하게 찍는 등 재미있는 부분을 더 재미있게 연기할 수 있도록 신경을 많이 써주셨어요. 그 덕에 드라마가 더 잘 된 것 같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감독님들이 배우들을 친구처럼 대해주셨어요.
Q. 윤하경이 몸담고 있었던 TQ그룹 경리부의 합도 참 좋았어요.
연기 잘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았어요. 따뜻한 분들이기도 했고요. 자기 대사 나눠주기도 하고 서로 살려주기도 했어요. 하루는 경리부 팀원 원기옥(조현식 분)의 생일이었는데, 생일이라고 "바스트샷 몰아주자"고, 하고 "좋은 애드리브 있으면 기옥이가 다 해"라고 이야기했었어요.
Q. 분위기가 좋았다고 하지만, 오랜만에 현장으로 돌아와서 힘든 점은 없었나요?
촬영하면서 힘들었던 이유는 웃음, 울음을 참지 못해서였어요. 코믹한 신이 너무 웃겨서 눈물이 나기도 했고 아무것도 아닌 신이 마음을 찡하고 울려서 감동하기도 했어요.
Q. ‘김과장’이 유쾌하기도 했지만 우울한 이야기도, 진지한 이야기도 참 많이 다뤘어요.
비인간적인 에피소드들을 보고 “정말 저런 일이 있어?”라고 물었어요. 직장생활 하시는 분에게 프리허그가 필요하겠다고 생각했어요. 실제로 현실에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해서 정말 깜짝 놀랐어요.
배우는 작품에서 사람을 만나는데 한 작품 한 작품 할 때마다 사람이 바뀌잖아요. 그런데 조직사회는 그렇지 않으니까 더욱 안타깝다고 생각했어요.

Q. 엄마 남상미로 살다가 다시 배우 남상미의 삶을 살았어요. 이전과 달라진 것이 있나요?
20대에는 잘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었어요. 그런데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매일 새로운 경험을 하면서는 강박에서 벗어났고, 단단한 사람이 됐어요. 또 이제는 전체를 아우를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이전에는 여주인공 역할이면 그 역할에만 집중했는데 이제는 전체를 보고 다른 사람들을 챙길 수 있게 됐어요.
Q. 모두를 챙기면서 연기했던 ‘김과장’, 인생 작품이라고 생각하나요?
아직 멀었다고 생각해요. 인생 작품은 늦게 나오면 나올수록 좋은 것 아닐까요?
Q. 인생 작품은 아니더라도, ‘김과장’으로 연기 인생 2막의 첫 단추를 잘 끼웠다고 생각해요. 앞으로 어떤 배우가 되고 싶어요?
제가 느끼는 행복을 대중에게 꾸준히 줄 수 있는 배우가 되고 싶어요.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제가 나오는 방송을 보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으셨으면 좋겠어요.
Q. 성공적으로 복귀한 만큼 다음 작품이 더 기다려지네요.
일단은 드라마가 끝났으니 가족과 추억을 만들려고요. 작품을 하지 않는 동안에는 아이가 많은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주고 싶어요. 하반기에 다시 작품을 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더 빨리 괜찮은 작품을 만난다면 운명이라고 생각해야죠.
사진=제이알이엔티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