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변진희 기자] 밴드 혁오가 ‘젊은 우리’에게 음악으로 위로의 메시지를 전한다.
24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디뮤지엄에서 혁오의 첫 정규앨범 ‘23’ 발매기념 음감회가 진행됐다. 이날 혁오는 앨범의 수록곡 일부 및 뮤직비디오를 공개하며, 취재진들과 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23’에는 더블 타이틀곡 ‘톰보이’와 ‘가죽자켓’을 비롯해 ‘버닝 유쓰(Burning youth)’, ‘도쿄 인(Tokyo Inn)’, ‘완리(Wanli)’, ‘다이 얼론(Die Alone)’, ‘폴(Paul)’ 등 한국어, 중국어, 영어 가사로 구성된 총 12곡이 수록됐다.
혁오는 미국, 독일, 몽골 등으로 건너가 음악과 뮤직비디오 작업을 하며 2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심혈을 기울였다. 청춘에 대해 제기하는 문제가 깊어진 만큼 작곡과 편곡은 더욱 세밀해졌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혁오의 연주와 믹싱은 더욱 정교해졌다.
이렇게 탄생한 앨범을 관통하는 주제는 ‘젊은 우리’로, 수록곡들은 이 키워드를 바탕으로 혁오가 이 시대 모든 청춘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모두 담겨있다.

오혁은 “새로운 메시지와 주제를 가지고 앨범을 작업하는게 맞을까, 기존에 가지고 있던 메시와 정서를 마무리하고 다음으로 넘어갈까 고민했다”라면서 “저희가 정규앨범이 하나도 없었다. 음악적으로 마침표를 찍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이전에 가지고 있던 느낌을 이번에도 담았다. 처음에 앨범에 접근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였다. 최종적으로 정한 콘셉트는 청춘이었다”라고 앨범의 주제를 밝혔다.
그러면서 혁오는 ‘청춘’을 또 두 가지로 분류했다. 오혁은 “청춘 자체이기 때문에 찬란하고 빛이 난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불안해하고 방황하면서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과정에 놓인 것도 청춘이라고 생각했다. 그런 맥락으로 이번 앨범을 만들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타이틀곡 ‘톰보이’는 혁오가 지금 어디서, 무엇을 말하려는지 집약한다. 이어 ‘가죽자켓’을 통해 ‘세상은 하필 걸터앉은 곳은 가시덤불이고 피가 철철 나도 아무도 봐주질 않는다’고 이야기하며, ‘2002 월드컵’을 통해 ‘한일 월드컵과 같은 승리와 영광의 기억은 많지 않고 세상살이는 늘 어렵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다이 얼론’처럼 제목부터 청춘의 비관이 담겨 있는 곡이 있는 한편, ‘지정석’처럼 아직 어디로도 떠나지 않는 비행기에 자신의 감정을 대입하기도 한다.
특히 ‘지정석’에 대해 오혁은 “제 개인적으로 힘들 때, 어떻게 해야할지 모를 때의 상황에서 만들었던 곡이었다. 스케줄이 있어서 비행기를 타고 가던 중에 만들었다. 왜 가는지 모르겠고, 어딜 가는지 모르겠고, 가야하는 것이 맞는지 모를 느낌을 담아 만들었다. 그런 느낌으로 공감이 될 수 있을 것 같았다”고 강조했다.
혁오는 음악을 통해 20대 청춘에게 “We’re not so wrong”라고 말한다. 이들 메시지가 ‘젊은 우리’에게 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혁오의 새 앨범 ‘23’의 음원 및 뮤직비디오는 이날 오후 6시부터 국내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사진=두루두루amc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