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권구현 기자] 어느 작품, 어떤 역할을 맡기더라도 자신의 역할을 능히 해내는 배우가 있다. 그로서 작품의 완성도는 올라가고, 배우 그리고 캐릭터의 앙상블은 풍부해진다. 박혁권이 바로 그런 배우다.
그에게 있어 흔히 말하는 '이미지 고정'에 대한 염려는 없다. 특이한 마스크도, 그렇다고 평범한 얼굴도 아닌데 자신이 맡은 역할의 옷을 고스란히 입어낸다. 날티 나는 사채업자가 됐다가, 야욕 넘치는 검사가 되기도 한다. 평범한 가장을 연기하다가도 검 한 자루를 들고 삼한제일검이 되기도 한다.
작품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 만나기 쉽지 않은 배우다. 어느 자리에서건 전면에 나서서 '박혁권'의 모습을 보이기 보다는 연기로 승부한다. 덕분에 관객은 박혁권보다 그가 연기하는 캐릭터를 먼저 만난다. 관객이 박혁권의 연기를 믿고 보는 이유일 터다.
영화 '장산범'으로 관객과 만난 박혁권과 제니스뉴스가 최근 서울 종로구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장산범'에서 박혁권이 연기한 '민호'는 아내 '희연'(염정아 분)의 감정을 받쳐주는 조력자 역할이다. 이번 역시 전면에 나서기 보다는 한 발 뒤에서 작품을 조율해냈다.
실제 만난 박혁권도 그랬다. 인터뷰를 쥐락펴락 하지만 대화 끝에 붙이는 한 마디 한 마디로 테이블에 웃음 폭탄을 던졌다. "제 유머 타율은 무려 4할대"라고 자부하는 박혁권. 과장하자면 신비주의 속에 가려져 있던 박혁권의 유쾌한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완성된 ‘장산범’을 본 소감은?
솔직히 영화를 보기 전까지는 걱정이 많았다. 홍보하기 창피하면 어쩌나 했다. 사실 대본만 보고 연기를 했고, 현장과 후시녹음 때도 저 나온 부분만 봤었다. 사실 제가 많은 배우가 출연한 작품의 경우 홍보 일정을 피하는 편이다. 그런데 ‘장산범’은 그럴 수가 없다. 염정아 씨 혼자 하라고 할 수도 없고. 그래서 그런 걱정을 한 거다. 하지만 영화가 좋게 나와서 다행이다.
그래도 시나리오가 마음에 들었으니 선택했을 작품 아닌가?
‘장산범’은 시나리오만 본다면 사건을 다이나믹하게 그리는 영화는 아니었다. 양념이 센 부분이 없다. 여기에 소리와 CG가 더해졌을 때 무서워질 영화였다. 허정 감독님이 말수가 정말 적으시다. 저는 직언을 하는 편인데, 감독님은 직언 보다는 돌려서 말씀하시는 편이다. 이를테면 컷을 외치곤, “좋지만 한 번 더”의 스타일이다. 머리 속에 그림은 확고하신 것 같은데, 그걸 설명은 들어도 제가 100% 알아들을 수 없었다. 그래서 최종본이 더 궁금했던 것 같다.

‘민호’는 ‘희연’을 받치는 역할이다. 어떤 식으로 접근했는지?
희연은 감정이 극에 가있는 인물이다. 그래서 제 위치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희연의 감정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그래서 감독님과 민호의 중심을 어디에 둘지 대화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촬영 당시 예의 “좋지만 한 번 더”가 계속 나왔다. 하하. 왜 ‘한 번 더’인지 절대 말씀 안 해주신다. 그래서 가끔 염정아 씨와 “대체 왜 ‘다시’지?”라는 귓속말을 하곤 했다.
기술적인 면으로 볼 때 이번 작품은 아빠 연기와 맹인 연기로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이제 제 나이에는 아빠 역할이 맞는 것 같다. 총각 역할이면 노총각일 거다. 가장이나 돌싱 역할이 대부분일 것 같다. 최근 드라마에서도 아빠 역할을 했다. 당분간 가족 이야기인 작품은 자제할 생각이다. 하하.
맹인까지는 아니지만 시력을 잃은 연기를 했다. 참 신경 많이 썼다. 1차원적인 연기다. 굳이 따지자면 레벨 1의 연기인 거다. 못 하면 후배들 볼 낯이 없었다. 업계 선수들 사이에선 매장 당할 일이다. 이를테면 페널티킥을 실축한 호날두인 거다. 전 선배들보다 후배들이 더 무섭다. 연극할 때도 후배들이 보러 오면 더욱 신경 쓰였다. 그래서 부끄럽지 않기 위해 더 노력했다.
신란아 양과 호흡은 어땠는지? 정말 아역 같지 않은 연기를 펼쳤다.
전 가능하면 나이를 안 따지면서 살고 싶어 한다. 인간 대 인간으로 마주하고 싶다. 선진국 마인드, 북유럽 마인드라고 포장하고 싶다. 하하. 우리나라는 나이를 많이 따지다 문제가 생기는 일이 많은 것 같다. 물론 긍정적인 면도 있다. 하지만 싸우다가도 나이를 묻는다. “너 몇 살이야?” 이걸 영어로 한다고 생각하면 너무 웃긴다. 싸우다 말고 “How old are you?”라니. 가끔 격하게 싸우면서 부모님 안부도 묻는다. 웃자고 말하자면 일종의 화해의 제스처다.
연기자들 사이에선 선후배 사이가 나름 엄격한 편인데.
선후배 의식보다 동료 의식이 앞서야 한다. 제가 나이를 더 먹는다 쳐도 후배들에게 나이를 따지고 싶지 않다. 물론 나이를 먹으면 대접도 받고, 일이 편하게 풀리는 지점도 있다. 소위 “늙으면 장땡”이라는 건데, 그런 대접 안 받고 싶다. 없어졌으면 좋겠다. 서로 함께 일 하는 사이니까 적정선의 예의를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신린아 양은 과묵하고, 자기 맡은 바 책임을 다 하는 좋은 동료 배우다. 엄마랑 있을 때만 조금 아이 같은 것 같다. 그 정도로 진짜 조용하고 가만히 앉아 있다. 앞으로 지켜보고 싶은 신인 동료 배우다.

북유럽 마인드라니, 그런 멘트는 평소 따로 연습하는 걸까? 유머 욕심이 있는 편인가?
보시다시피 제가 유머 감각이 좋은 편이다. 하하.
타율로 치자면?
4할대라고 자부한다. 아시아 상위권이다. 이런 자부심에 딴지 거는 사람이 있는데, 사실 전부다 웃음이 터진 후에 뭐라고 한다. 그럴 때 참 속상하다. 그런 면에서 유머 욕심도 있는 편이고, 연습도 한다. 연극할 땐 웃기는 상황을 만들려고 미리 연습실에 가기도 했다.
그런데 정작 예능에선 보기 힘든 얼굴 중 하나다.
예능에 나가면 뭔가 항상 죄송하다. 적극적으로 나서서 무언가를 만들어야 하는데 그러질 못한다. 쑥스러워서 그런 것 같다. 그래서 미안해진다. 안 할 수 있다면 안 하는 쪽으로, 그럼 미안할 일도 없다는 생각이다. 솔직히 말해 잘 할 자신이 없다.
그러고보면 작품에서도 웃음을 위한 코미디는 보기 힘들었던 것 같다. 진지한데 웃기는 경우는 있어도.
제 평소 웃음 타율이 4할대이다 보니 몸 쓰는 개그도 가능할 거라 생각하여 제의가 올 때가 있다. 저를 오해하고 계신 거다. 전 그런 그림을 그릴 자신이 없다. 보통 작품을 고를 때도 그렇다. 내가 소화 못하는 부분이 보일 때가 있다. 전체적으로 이해도 잘 안 되고, 감도 안 오고, 분명 작가나 감독은 감정을 실었을텐데 내가 그걸 캐치를 못 해낼 때가 있다. 그건 DNA가 안 맞는다는 이야기다. 그럴 땐 작품을 거절한다. 그런 작품으로 현장까지 가게 되면 정말 너무 힘들다.
그럼 차기작은? 일단 코미디는 아닐 거 같고.
셀프 안식년을 줄 생각이다.
기간은 얼마나? 회사(미스틱엔터테인먼트)는 이 사실을 알고 있는지?
길면 1년까지도 보고 있다. 회사에다가도 이야기는 했는데 “나중에 이야기 하자”고 했다. (옆에 회사 직원을 보며)그들은 내 통장에 얼마가 있는지 잘 알고 있다. 하하.
사진=NEW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