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권구현 기자] 요즘 신조어로 '만찢남'이라는 말이 있다. 풀이하면 '만화책을 찢고 나온 남자'의 줄임말이다. 만화책에서만 있을 법한 외모를 가진 꽃미남에게 붙는 수식어다.
배우 이종석은 연예계의 대표적인 만찢남이다. 큰 키에 여리여리한 몸매, 하얀 피부에 작은 얼굴까지, 외모만으로도 '만찢남'이겠으나, 지난 2016년 인기리에 방영된 MBC 드라마 '더블유'를 통해 그 수식어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웹툰 속의 히어로 '강철'을 통해 만화 속 세상과 현실 속을 오고가며 정의를 구현하고, 사랑을 쟁취했던 이종석. 이젠 로맨스와 드라마를 넘어 액션까지 소화하며 배우로서 스펙트럼도 넓혔다.
그리고 지금 새로운 영역에 도전한다. 영화 '신세계'(2013)를 통해 대한민국 느와르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박훈정 감독의 신작 '브이아이피'의 김광일을 연기했다. 김광일은 대한민국으로 넘어온 북한 VIP로서 작품 내 살인사건의 강력한 용의자다. 희로애락을 드러내지 않고, 안하무인으로 움직이는 차디찬 인물이다.
이종석과 살인마, 그리고 느와르라는 조합은 관객들에게 다소 생소할 일이다. 이종석도 그런 이미지의 한계를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도전했고, 그래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지금도 끊임 없이 도전하고, 발전하고 있는 배우 이종석과 제니스뉴스가 최근 서울 종로구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그곳에서 나누었던 이야기를 이 자리에 담아본다.

오랜만의 영화다. 영화에 대한 만족도는?
개인적으로는 만족하면서 봤다. 사실 다른 작품 촬영 때보다 불안해하며 찍었었다. 영화를 한 번 더 봐야 전체를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일단 시나리오보다 10배 이상 재미있게 나온 것 같다. 제 자신에게 칭찬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이번엔 ‘애썼다’고 칭찬하고 싶었다.
선배님들도 현장에선 칭찬을 해주신 적 없는데, 홍보하시면서 “잘 했다”고 칭찬해주셨다. 사실 이번 영화에 겁을 많이 먹고 있었다. 그런데 선배님 칭찬을 들으니 감사했다. 빈말을 안 하시는 선배님들이라 더 가슴에 와닿았다.
무엇에 겁을 먹고, 무엇이 그리 불안했는지?
저는 연기할 때 보통 캠코더로 촬영을 해서 모니터링을 따로 한다. 집에 가서 그걸 보며 많은 반성을 하는 편이다. 그런데 감독님이 그걸 못 하게 하셨다. 그리고 악역이라 힘이 조금 들어가는 것 같았다. 감독님의 디렉션과 함께 그걸 덜어내는 작업을 했다.
평소와 다른 작업 환경이라 불편하진 않았을까?
오히려 너무 편했다. 전 작품과 캐릭터에 다가가면서 제가 설계하고 계획하고 하는 편이다. 그런데 이번엔 캠코더로 모니터도 못 했으니까, 오히려 고민할 일이 없었다. 그저 감독님을 따라갔다. 머리가 덜 복잡하니 더 좋은 연기를 할 수 있었다. 아마 제가 고민이 많은 타입인 걸 아시고선 캠코더 촬영을 못하게 하신 것 같다.

확실히 그간 연기했던 캐릭터와는 전혀 다른 결의 인물이었다.
그래서 제게 ‘김광일’은 더 신선하게 다가왔고, 더욱 하고 싶었던 작품이었다. 특별히 전사랄 건 없는 인물이었다. 그저 모든 사람이 내 발 아래 있다고 느끼는 사람이다. 그런데 그를 자극하는 사람이 나타난다. 바로 채이도였다. 흥미가 생기고, 그래서 미소를 짓는다. 감독님께선 김광일은 살인에서 희열을 느끼기 보단, 취미생활처럼 느끼는 인물로 설명하셨다. 사실 애매모호한 감정이기에 공감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나중엔 그 애매모호한 상태가 더 좋게 느껴졌다.
시나리오를 찾아 보고, 직접 박훈정 감독에게 출연의사를 밝혔다고 들었다.
일단 감독님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전작 ‘신세계’를 워낙 재미있게 봤다. 제가 남자 영화에 대한 동경이 있다.
남자 영화에 대한 동경이라니, 그간 필모그래피를 본다면 의외인 부분이다.
사실 저도 제가 가진 이미지를 잘 알고 있다. 그 이미지를 대중이 좋아하기에 사랑 받는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래도 느와르를 꼭 하고 싶었다. 그럼에도 제가 채이도를 연기한다고 가정했을 때, 그 모습이 어색했다. 제가 담배를 물고, 욕을 하고, 위협을 한다? 그림이 잘 그려지질 않았다. 이전에도 느와르를 할 기회는 있었다. 하지만 겁이 났었다. 그러나 김광일은 제가 가진 것들을 무기 삼아 잘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외모에서 오는 이미지일 뿐이다. 결과적으로 ‘브이아이피’의 김광일은 의도대로 잘 살려낸 것 같다.
정말 감사하다. 저는 하드웨어적으로 제가 가진 장기가 뭔지 잘 안다. ‘브이아이피’를 예로 들면 김명민 선배님이 떡하니 서있는 것과, 제가 서 있는 건 너무나도 다르다. 전 그 느낌을 살리자면 다른 표현을 부가해야 한다. 외모가 주는 결은 연기로 극복할 수 없는 차이점이다. 그래서 느와르를 더 하고 싶어했던 것 같다. 제가 가지지 못한 거니까. 개인적으로 마지막에 장동건 선배님이 총을 장전하며 걸어오는 신이 정말 멋졌다. 아마 제가 하면 다른 느낌이었을 거다.
언어적인 어려움은 없었을까? 북한 사투리에, 영어까지 사용했다.
개인적으로 북한 사투리는 자신 있었다. ‘코리아’와 '닥터 이방인’을 통해 경험해 본 적 있었다. 감독님이 원하시는 건 남한말과 표준어의 중간 단계였다. 박희순 선배님의 어투가 좋다고 하셔서 참고했다.
영어는 감독님이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셨다. 연기는 마음대로 해도 영어는 잘 해달라고 하셨다. 정말 녹음파일을 수천 번 들었던 것 들었던 것 같다. 그래도 안 되는 건 안 됐다. 영화를 보는데 땀이 났을 정도다. ‘더 잘 했어야 하는데’라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를 보고 나서 매니저에게 “솔직히 어땠어?”라고 물었더니 “연기는 좋았는데, 영어가 조금 이상했어요”라고 했다. ‘아, 나만 느꼈을 줄 알았는데, 매니저에게도 들켰구나, 관객들도 알겠구나’라고 생각됐다. 제일 아쉬운 부분이고, 반성도 많이 했는데, 앞으로도 어려울 것 같다.
▶ 2편에서 계속
사진=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