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부산, 권구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침체된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방향을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샌텀남대로 롯데시네마 센텀시티에서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 관람 및 GV에 참석했다.
이후 문재인 대통령은 부산 지역 영화학과 학생들과 함께 오찬을 가졌다.
이날 사회를 맡은 오석근 감독은 “금부터 22년 전 문화의 불모지로 불리던 부산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국제영화제가 만들어졌다. 그랬던 영화제가 탈이 좀 났다. 지난 정부에서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만들고 창작과 표현의 자유를 침해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부산영화제도 직접적 피해를 입어 지금 몸살을 앎고 있는 입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께서 시민을 비롯해 관객과 영화인들을 격려하고 영화제를 응원하기 위해 직접 영화제에 오셨다”고 오찬 취지를 밝혔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앞으로 한국영화계 이끌어나갈 분들 같은데 이 자리 갖게 돼서 뜻 깊다. 저는 부산사람이어서 부산국제영화제가 처음 시작될 때부터 쭉 공식적으로 또는 개인적으로 함께 해왔다. 대통령 첫 참석이라 뜻 깊게 생각한다”고 인사했다.
이어 “부산국제영화제는 기적적인 성공을 거뒀다. 빠른 시간 내 세계 5대 영화제가, 아시아 대표 영화제가 됐다. 부산시민들과 국민들 자랑스러워하는 영화제로 성장했다”면서, “그땐 정부도, 부산시도 적극적으로 영화제 지원하더라도 철저히 간섭하지 않았다. 영화제 자체를 영화인에 맡겨 독립적, 자율적으로 운영토록 했다. 그 때문에 영화인들이 갖고 있는 저력을 100% 발휘할 수 있었다”고 발전 배경을 설명했다.
나아가 “그러나 그 이후 몇년간 부산영화제가 좌파영화제다 해서 정치적으로 (안들림) 영화제 지원을 빌미로 정부가, 부산시가 간섭했다. 영화 ‘다이빙벨’ 상영을 계기로 영화제 자체가 블랙리스트에 올라가 국고 지원금이 반토막 났다”고 비판했다.
더불어 “우리 정부에서는 다시 부산영화제 과거의 위상으로 되살리겠다”면서, “그 방향은 자명하다. 초기처럼 정부도 시도 힘껏 지원하되 운영은 영화인에게 맡기는,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살리면 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부산영화제에도 많은 영화인들이 영화제가 정치적으로 돼버린 것에 대한 여러가지 불만들 있어 외면하고 지금도 참여하지 않는 분 있는데, 정부의 의지를 믿고 이번 영화제 남은 기간이라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주기를, 함께 영화제를 살려내자는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사진=부산국제영화제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