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이혜린 기자] 배우 류덕환이 더욱 깊어진 매력으로 돌아왔다. 지난 2016년 3월 국방의 의무를 다하고 좋은 모습 돌아오겠다던 류덕환이 안방극장에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군인 티는 벗었냐”는 질문에 “얼마 전에 재입대하는 꿈을 꿨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아직까지 모니터링이 부끄럽다는 류덕환은 경력만 해도 27년 차인 베테랑이다. 아역배우로서 어린 시절 내내 배우 활동을 해온 류덕환은 영화 ‘웰컴 투 동막골’, ‘천하장사 마돈나’, 드라마 ‘신의’, 연극 ‘에쿠우스’ 등 장르를 불문하고 탄탄한 연기 내공을 쌓아왔다. 특히 '신퀴폐인'이라는 마니아층을 형성한 ‘신의 퀴즈’의 시즌 5가 나온다는 소식에 류덕환의 제대 후 행보를 궁금해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그래서 오랜만에 안방극장에 얼굴을 드러낸 그의 모습이 더욱 반갑다. 연극 ‘낫심’으로 복귀한 류덕환은 드라마 ‘미스 함무라비’로 본격적으로 활동에 시동을 걸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 제43부 우배석판사 ‘정보왕’(류덕환 분)으로 분한 류덕환은 캐릭터의 능청스러운 모습을 맛깔나게 살려냈다. 특히 ‘정도 커플’로 걸크러시 속기사 ‘이도연’(이엘리야 분)을 향한 ‘정보왕’의 로맨스도 시청자들의 마음을 자극하는 포인트였다.
류덕환과 제니스뉴스가 지난 17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극중 '정보왕'을 닮은 듯한 재치 있는 모습으로 이야기를 이어가던 류덕환. 그와 나눈 유쾌한 대화 현장을 이 자리에 전한다.

Q. ‘미스 함무라비’는 촬영 후 어떻게 지냈는지.
촬영을 끝내자마자 여행을 다녀왔다. 어머니, 누나와 러시아에서 일주일 정도 다녀온 뒤에 혼자 유럽 여행도 했다. 스페인, 포르투갈을 다녀왔다. 혼자 여행하며 숙박 공유 서비스를 이용해봤는데, 호스트들과 친해져 즐거웠다.
Q. ‘미스 함무라비’는 마지막 회를 다 같이 봤다고 들었다.
부끄러워서 보기 어려웠다. ‘천하장사 마돈나’까지도 잘 봤는데, 이후 작품의 모니터링을 하며 연기보다 옷이 구겨진 모습에 신경 쓰는 나를 발견했다. 연기를 신경 써야 했는데 다른 부분에 눈길이 갔다. 많은 생각이 들었다. 모니터링은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가는 것 같다. 그래서 더 많이 준비하고, 확실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Q. 이번 작품은 복귀작이어서 남달랐겠다.
신경도 많이 썼고, 걱정도 많이 됐다. 하지만 ‘잘 해야지’라는 마음이 없었다면 작품 속 모습이 어색했을 거다. 좋은 사람들과 만나 맡은 인물을 표현하는데 문제없었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재미있게 할 수 있다’가 먼저였기 때문에 아쉽지 않게 하고 싶은 연기를 할 수 있었다.
Q. 제작발표회에서 시청자들에게 ‘군인 티 벗었다’는 반응을 받길 원했다. 스스로 평가해본다면?
얼마 전에 재입대하는 꿈을 꿨다. 아직인 것 같다. 드라마에서 군인 티가 안 비치고 정보왕만 기억해주셨으면 좋겠다(웃음).

Q. ‘미스 함무라비’는 스토리에 집중한 웰메이드 작품이라는 호평을 얻었다.
세상에서 느낀 답답한 감정의 숨통을 틔우는 드라마 같다. ‘미스 함무라비’를 선택한 이유 중 하나다. 스토리가 아닌 로맨스, 멜로에 취중 한 작품이었다면 저도 부담스러웠을 것. 로맨스 장르는 예뻐 보여야 하는데, 스토리가 정확하지 않은 상태라면 배우가 책임져야 하는 부분도 있다.
Q. ‘미스 함무라비’는 문유석 판사가 쓴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다.
민사 법정 자체가 영화, 드라마 같지 않았다. 형사 재판이나 영화 속 재판은 망치로 두드려야 끝난다. 그런데 민사는 그런 게 없다. 한국에는 없다고 들었다. 작가님의 힘이고 경험에서 나온 디테일한 부분이다.
어디서 들어본 것 같은 우리 이야기도 많다. 거대한 사건 보다 돈 100만 원 가지고 엉엉 울고, 각자가 해결해도 될 거 같은 이야기를 조정하는 부분 말이다. 한 번은 ‘가슴 털 부장’ 에피소드 나올 때 작가님께 “이건 너무 에피소드 만들려고 쓴 것 같다”고 했는데, 실제 있었던 일이라고 하셨다. 제가 모르는 일들도 우리가 사는 현실의 모습이었다.
Q. 극중 판사를 맡아 준비 많이 했겠다.
작가님이 실제 판사셨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루트를 알려주셨다. 직접 재판을 보러 가기도 했다. 그런데 극중 판사로서 한 게 없다. 밖을 제일 많이 돌아다녔다. 항상 문을 열고 들어가는 신으로 시작한다. 클럽도 간다. 그래서 작가님께 술 먹고 투정 부린 적도 있다(웃음).
Q. 그런 부분이 아쉬웠을 것 같다.
극의 중반부에 방에서 일하는 신이 있었다.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드려야겠다’는 생각에 서류에 형광펜으로 밑줄을 그었다. 그런데 “원본에 칠하면 안된다”고 FD에게 혼났다. 원본인 줄 몰랐다(웃음).
사진=신경용 포토그래퍼(스튜디오 다운)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