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권구현 기자] 요즘 가장 핫한 배우라 하면 이름을 빼놓지 않는 배우가 있다. 바로 마동석이 그 주인공이다. 주 종목인 영화는 물론 ‘마블리’ ‘마요미’란 별명과 함께 CF계까지 섭렵했다. 최근에는 천만 관객을 돌파한 ‘베테랑’에서 ‘아트박스 사장님’이라는 단발성 캐릭터로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씬스틸러’로서 진면목을 보여줬다.
사실 마동석은 전형적인 늦깍이 배우다. 1971년 생인 그는 2005년 ‘천군’을 통해 데뷔했다. 데뷔 전 미국에서 생활했고, 이종격투기 트레이너라는 이색 이력까지 가졌다. 늦었던 시작만큼 걸음걸이는 바빴다. 역할의 크고 작음 보다는 본인의 연기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는 좋은 작품들에 임했다. 낮은 곳부터 차곡차곡 쌓아온 필모그래피는 대중들에게 신뢰를 더했고, 이제 그는 대세 배우가 되어 영화 ‘함정’을 들고 돌아왔다.
그런 마동석을 지난 1일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의 한 까페에서 만났다. 마동석은 오는 10일 개봉하는 영화 ‘함정’에서 외딴 섬의 식당 주인 ‘성철’을 연기했다. ‘성철’은 자신의 식당에 찾아오는 손님들을 해코지하는 일종의 사이코패스 같은 인물이다. “’성철’에게는 별다른 설정이 없어요. 일부러 배제하려고 했죠. 진짜 같이 그리고 싶었어요. 여러 설명을 넣으면 가짜 같아 보일 것 같았고요. ‘성철’은 남의 고통을 이해 못하는 사람이에요. 칼로 찔러도 아무렇지 않아요. 양심에 와닿지 않는 거죠”

마동석은 이번 작품에 주연 배우로 활약했지만 기획에도 참여했다. 하여 캐릭터의 설정부터 관객들이 마주할 상황까지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을 썼다. “‘성철’이라는 캐릭터를 다 이해할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관객들이 받아들이게 할 의무는 있었어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캐릭터를 배치하고 싶었어요. 현실적인 캐릭터여야 이해를 도울 것 같았어요. 이해를 하려고 해도 이해가 안 되는 캐릭터가 나오면 관객들은 스트레스를 받아요. 부부 관계와 비슷해요. 한 쪽은 상상도 못하는 행동을 자꾸 이해만 하려 하면 스트레스가 쌓이죠.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여야 편해요. 전 ‘성철’을 그냥 받아들였어요. 그래야 관객들도 편하게 받아 들일 것 같아서요”
마동석의 필모그래피를 살펴보면 악역을 연기한 적이 처음은 아니다. 오히려 다른 배우들 보다 자주 맡아왔다. 이번 배역을 맡는 걸 고사했지만 감독의 설득 끝에 결국 받아 들고 말았다. ‘성철’은 그 어떤 캐릭터보다도 악랄한 ‘절대 악’, 악역의 끝판왕 같은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비스티 보이즈’ 때도, ‘감기’ 때도 악역을 했지만 그 땐 나름의 상황이 있는 캐릭터였어요. 사실 이번 작품은 기획에만 참여하려고 했었어요. 악역을 연기하는 건 분명 어려운 부분들이 있어요. 특히 현실감이 있는 연기, 이를테면 테러범 같은 역할은 실제에서 자주 접할 수 없는 부분이니까 덜한데, 사람을 칼이나 망치로 죽이는 것 같은 연기는 배우에게도 많이 힘들어요. 그런데 감독님이 ‘사람이 절대 악을 만났을 때의 절망적인 느낌, 모든 것이 포기가 되는 상황, 그런 캐릭터를 그리고 싶다. 네가 잘 맞을 것 같다’고 설득하셨죠. 지금껏 그런 악역, 악역의 끝에 서있는 캐릭터를 연기하신 분들도 있었어요. 그래서 저도 그런 연기를 한 번 하는 걸로 했죠”

배우에겐 이미지란 중요하다. 이번 ‘함정’의 ‘성철’은 너무도 센 캐릭터이기 때문에 배우로서 고민도 있었을 법 하다. 특히 ‘마블리’ ‘마요미’를 넘어 영화 ‘베테랑’을 통해 ‘아트박스 사장님’으로 어필 중인 마동석에겐 더욱 신경 쓰일 일이다. 게다가 CF계에서의 반응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마동석이 연기를 마주하는 자세는 여유가 있었다. “이미지라는 건 제가 만드는 게 아니”라는 것. “세상에 이미지나 별명을 의도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한다. 그저 작품을 하고, 광고를 찍고, 그러다보면 자연스레 관심을 가져준단다.
맞다. 그의 말대로 배우가 작품의 순서를 정하지는 않는다. 영화는 영화일 뿐, 영화를 통해서 현실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걸 배우 마음대로 할 수 없다. “그저 영화를 보고 별명이나 이미지를 만들어 주시면 받아들이고 살아가겠다”는 말은 이젠 충무로의 당당한 원톱 배우로 자리매김한 자신감마저 엿볼 수 있었다.
‘함정’은 스릴러 영화다. 하여 관객들이 작품을 마주하는데 다소 주저함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마동석은 “오락 영화로 봐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그 역시 스릴러, 액션도 좋아하지만 휴먼 드라마를 굉장히 좋아하는 한 명의 관객이다. ‘마요미’라는 별명에 걸맞게 애니메이션도 좋아한다. 허나 한국 관객들의 장르의 편식에 대해선 아쉬움을 토로했다. “’킹스맨’이 우리나라에서 흥행했을 때 굉장히 기분이 좋았어요. 오락성 있는 영화가 잘 됐다는 생각에서요. ‘베테랑’ 마찬가지고요. 우리나라도 다양한 장르의 오락 영화들이 많이 성공했으면 좋겠어요. 꼭 영화 한 작품에 웃음과 슬픔, 감동이 다 있을 필요가 있을까요? 잔혹한 스릴러를 포함해 여러 장르의 영화를 사랑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사진=서예진 기자 syj@zenithnews.com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