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권구현 기자] 천만 요정. 영화 배우로서 더 없이 좋은 수식어다. “대한민국 영화계를 위해 하늘에서 온 요정”이라는 하정우의 말처럼 배우 오달수는 그렇게 ‘천만 요정’이 됐다. 그 누구도 수식어에 이견이 없고 즐거워하니 오달수 역시 받아들여야 하는 분위기다.
그런 오달수의 이름 앞에 요즘 더 자주 붙는 말이 있다. 그건 바로 ‘대배우’. 본인은 분명 손사래를 치겠으나 배우 이름 앞에 작품 이름이 오는 것은 으레 있는 일이다. 영화 ‘대배우’의 원톱 주연 배우이니 ‘대배우’ 오달수라고 불리는 것도 감내해야 할 일이다. 지난 2002년 '해적, 디스코 왕 되다'로 영화판에 데뷔했던 오달수가 14년 만에 '원톱! 주연배우 되다'를 이룬 것이다.
배우 오달수가 자신의 삶과 닮은 영화 ‘대배우’로 관객과 마주한다. 포스터부터 자신의 이름과 얼굴을 전면에 내세웠다. 무명 연극 배우에서 충무로의 신스틸러로, 그리고 주연 배우로, 나아가 원톱 주연 배우가 된 오달수를 지난 24일 서울 삼청동 한 까페에서 만났다.
무명 연극 배우의 삶을 그린 만큼 자전적인 부분이 아무래도 많이 담겼을 것 같다. 오디션 보는 신이 인상적인데 과거에 비슷한 경험이 있었을까?
사실 영화를 하면서 오디션을 본 적이 없었다. ‘똥개’ 때 사투리 상태가 어떤지를 곽경택 감독님께 체크 받은 정도는 있었다. 현장에 들어갔더니 정우성도 앉아있고 스태프들도 쫙 앉아 있었다. 곽경택 감독이 저를 맞아주면서 “야 제작부 뭐해! 의자 안 갖다 드리고”라고 소리 치셨었다. “사투리 좀 보여달라”고 하셨는데 오디션이라기도 뭐했다. 전 주로 소개소개로 갔던 케이스였다.
영화가 제 과거와 많이 닮은 부분은 있다. 그래서 촬영하면서 옛날 생각도 많이 났다. 하지만 인간이라는 게 그렇다. 힘들었던 기억, 슬펐던 기억, 괴로웠던 기억들은 잘 잊어버린다. 반면에 행복했던 순간들은 추억으로 남는다. 어머님들이 그런 말씀을 하신다. “너희 아버지가 처음 장가 왔을 때가 스무살이는데, 얼굴에 여드름이 가득했었고~”라며 말하는 그런 추억들, 가장 행복했을 때의 추억들은 정말 생생하게 눈 앞에서 보는 것처럼 이야기를 하신다. 영화 속에 비쳐진 옛날도 그랬다. 어렵고 고단한 시절을 보아도 ‘그래 나도 옛날에 한 때는 그랬지’ 정도다. 하지만 딱히 반갑지 않은 그런 기억이다.

1년 동안 연극판을 떠났다가 결혼 후 금새 연극에 복귀한 일도 있다.
(결혼 후)3개월 만에 바로 사표 쓰고 올라왔다. 일종의 페인트였다. 1년 정도 직장생활을 하고 “딸을 달라”고 처가에 이야기 했다. 그러고는 3개월 후에 사표를 썼다. 전 연극을 해야 했던 사람이었다. 그 1년은 제 목표를 위해 잠시 외도를 했던, 참았던 시간들이었다.
연극이 그렇게 좋았을까?
연극하는 게 내게 어마어마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은 아니었다. 그냥 일상처럼 하는 거였다. 해녀들이 한 겨울에도 물질을 한다. 중학교 때 생물 선생님께서 해녀들이 겨울에도 물질을 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해 알려주셨다. 어제도 들어갔기 때문에 오늘도 들어간다는 것이었다. 매일 매일 들어가다 보니 자연스럽게 들어갈 수 있는 거다. 연기도 어제도 했으니까 오늘도 한다. 무슨 큰 의미를 두는 게 아니다. 일상이다.
연극 배우와 영화 배우의 경제적 차이가 그려지는데, 연극인들이 기분 나빠하지 않을까?
오히려 (연극 배우의 삶이)밝게 그려져서 좋았다. 찢어지게 가난하거나 지질이 궁상 같은 장면은 안 나왔다. 그게 사실 현실이다. 길거리에서 자는 건 그저 술버릇인 거다. 그 뒤에 국밥을 먹으러 가는 것도 국밥 먹을 돈이 있으니 가는 거다. 단원들끼리 모여서 술도 마신다. 기분 나쁘게 보는 연극인들은 없을 것 같다. 저도 연극을 하는 놈이다.
영화 속 장성필은 98 테이크까지 가는 경험을 하는데, 그 정도까진 아니어도 오래 갔던 테이크의 기억이 있는지?
테이크를 많이 가는 스타일의 감독들이 있다. 그런 감독과 하면 어느 배우 할 것 없이 열 테이크 이상은 가는 것 같다. 제 기억에 전 열 번 안에서 끝냈던 것 같다. 그래도 ‘놈놈놈’ 찍을 때가 기억난다. 크랭크인하는 날, 첫 촬영이었다. 첫날이라 손발이 참 안 맞았었는데, 그때만 해도 필름 촬영이었다. 그날 촬영 끝나고 김지운 감독님이 “야 5천 자 썼다, 5천 자”라고 하셨다. 보통 한 작품에 20만자 들어간다.(웃음) 어마어마한 양을 써버린 거다. 뭐 그런 경험이 있는 정도지 속 썩이는 편은 아니다.

어느덧 작품수가 많아지면서 등장만 해도 웃는 관객들이 생겼다.
참 안 좋은 일 같다. 이를테면 킬러로 나왔는데 관객이 웃어버리면 킬러의 무게가 확 떨어진다. 연극하는 분들의 통계적인 이야기인데 10분 정도의 약속이 있다. 영화나 연극이 시작되면 관객과 배우 간의 이상한 만남이 시작된다. 처음엔 관객들이 집중을 못한다. 그 간극을 10분으로 본다. 10분만 넘어가면 어떤 인물인지 웃어야 하는 인물인지, 아닌지 하는 판단이 선다. 원래 그런 것이다.
드라마에 출연할 생각은 없나?
물론 드라마 연기 하고 싶다. 두 작품 정도 해봤다. 그런데 분명히 스케줄을 다 맞춰주겠다고 말을 한다. “제가 영화를 찍고 있어서”라고 이야기를 해도 다 맞춰준다고 한다. 하지만 ‘웬걸’이다. 아무리 다른 스케줄이 있어도 드라마는 오늘 방영을 해야 하니까 빠질 수가 없다. 드라마는 스케줄을 통으로 뺄 수 있을 때, 그 때 좋은 작품이 오면 하려고 한다.
요즘엔 사전 제작이 늘어났다. 특히 중국 쪽 제작 방식이 그렇다.
좋은 작품 있으면 할 수 있겠지만, 중국 쪽 같은 경우는 하기 싫을 때가 있다. 브로커가 와서 “무조건 세 배 이상을 준다”는 말을 하면서 같이 하자고 한다. 그런 제안을 듣는 자체가 자존심 상한다. 제가 꼭 세 배 준다 그러면 혹 해서 할 사람처럼 보였나 보다. 그래서 더 하기 싫다.
사진=김문희 인턴기자 moonhee@, 영화 '대배우' 스틸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