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권구현 기자] 배우 유연석이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에서 앳된 얼굴로 유지태의 아역을 연기한지도 벌써 십수년이 지났다. 군복무 이후 ‘혜화, 동’ ‘건축학개론’ ‘늑대소년’ 등 꾸준하게 얼굴을 비췄지만 노력에 비해 나름의 아쉬웠던 시간들이었을 터. 하지만 2013년 드라마 ‘응답하라1994’에서 순정파 야구선수 ‘칠봉이’로 그간의 고생을 보상받았다.
화제의 중심에 선 유연석은 ‘제보자’ ‘상의원’ ‘은밀한 유혹’ ‘뷰티 인사이드’까지 바쁜 시간을 보냈고, 올해엔 ‘그날의 분위기’에 이어 벌써 두 번째 작품으로 관객과 마주한다. 바로 영화 ‘해어화’를 통해서다. 영화 ‘해어화’에서 ‘소율’(한효주 분)과 ‘연희’(천우희 분)의 사랑을 받는 천재 작곡가 ‘윤우’를 연기한 유연석을 지난 6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제니스뉴스가 만났다.
유연석은 '응답하라1994'의 '칠봉이'로 많은 인기를 끌면서 대중들에게 '바른 청년'의 이미지를 안겼다. 또한 곧바로 방송됐던 예능 프로그램 '꽃보다 청춘'을 통해 친구들을 리드하고 꼼꼼하게 여행스케줄을 챙기는 엄마 같은 이미지도 선보였다. 유연석 또한 "저한텐 반듯한 이미지, 똑 부러지는 이미지가 있는 것 같아요"라고 말한다.
"'빈틈이 없을 것 같다'는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의외로 허술한 부분도 많아요. 그렇게 반듯하게만 살아온 것도 아니고, 저도 일탈을 꿈꿀 때가 있거든요. 생각보다 참 빈틈이 많아요. 허술한 것 보다야 좋은 이미지 같지만 예를 들면 저랑 친한 호준이 같은 경우는 사람들이 친근하게 느끼는 부분이 있는데, 전 어렵게 느끼실까봐 걱정이에요" 과거 '늑대소년'의 양아치 이미지와 '건축학개론'의 압서방(극중 압구정-서초-방배에 사는 선배) 이미지를 걱정할 때와는 세상이 정말 많이 변했다.

그의 반듯한 이미지 덕분일까? 최근 남자 배우 중에는 정말 여자 배우 복이 많은 배우가 유연석이다. '응답하라 1994’에서는 고아라를 사랑하다 결국 정유미와 이어졌고, 가장 최근에는 ‘그날의 분위기’에서 문채원과 호흡을 맞췄다. 이번에는 무려 청룡의 여인이라는 한효주와 천우희, 두 사람의 사랑을 받았다. 과연 그 호흡은 어땠을까?
“두 분 다 성격도 좋고, 연기할 때 매너들이 좋아요. 특히 극을 끌어가는 힘도 너무 좋았고요. 한효주 씨는 ‘뷰티 인사이드’ 때 짧게 호흡 맞추고 나서 ‘긴 호흡으로 하면 어떨까’라고 기대했는데, 이렇게 만나게 돼서 좋았어요. 우희 씨도 영화제 같은데서나 마주치는 사이였어요. ‘뷰티 인사이드‘에 함께 했지만 같은 신에 나오진 않아서 인연이 없었거든요. 같이 호흡 맞추게 돼서 좋았어요"
여배우 복이 많다는 건 좋을 일이지만 남자 영화, 브로맨스에 대한 욕심도 감추지 않았다. “굳이 남자 영화라고 말하긴 그렇지만 근래에 깔끔한 이미지의 역이 많았어요. 지금 윤우보다도 더 거칠고 풀어진 느낌의 인물들을 경험해 보고 싶다는 욕심은 있어요. 로맨스 보다는 남성적인? 남자 배우와 호흡을 맞출 수 있는 것도 또 다른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아요. 요즘 남자 배우들끼리 호흡을 맞추는 작품이 워낙 많잖아요. 일종의 브로맨스? 황정민 선배와도 해보고 싶고 하정우 선배도 좋고, 송강호 선배님도 계시고, 같이 해보고 싶은 배우가 너무 많아요”
깔끔하고 반듯한 이미지, 어찌 보면 서울 깍쟁이의 이미지라고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유연석은 자신은 "신식이 아닌 구식"에 가깝다고 선을 긋는다. “긍정적인 편이고, 편한 사람과 있을 땐 장난스러운 면도 있어요. 서울 남자라고 이야기하기도 참 그래요. 윤우가 소율이를 오랜만에 만나서 ‘난 신식이다 신식’이라고 말하는 부분이 있는데, 전 그다지 신식도 아니에요. 옛날 것들 좋아하고요. 오히려 아날로그라고 할 수 있어요”

그래서일까? 유연석은 촬영장에서도 자신의 카메라를 놓지 않는 걸로 알려졌다. 자신의 이름을 걸고 사진전을 개최한 적도 있다. “가지고 있는 취미 중 가장 깊게 파고들었다”고 말한다. 카메라 앞에 서다가 카메라 뒤에 있을 때의 느낌이 소중하고, 정지된 스틸로 무언가를 전달한다는게 좋단다. 스마트폰 카메라가 보편화된 시대에 폴라로이드 카메라에 꽂혔다. 신식이 아닌 구식이라더니, 그래서 “난 아날로그”라고 말할 수 있는 부분이겠다.
이태원에서 와인바를 운영하는 것도 나름 운치 있는 아날로그적인 발상이다. 포르투갈어로 ‘달’이라는 뜻의 이름인데 7~8층 되는 건물에 간판을 크게 써놨다. 이태원에 달을 띄워놓고 싶었단다. “최근엔 팬들 외에도 일반인도 많이 찾아온다”며, “제가 만들어 놓은 공간인데 좋아해주시니 좋은 것 같다”고 말한다.
‘해어화’ 이후 장률 감독의 ‘춘몽’에 짧게 특별출연하기로 했다는 유연석. 최근 바쁜 행보에 꽤나 수척해졌다. 체력 관리의 노하우는 따로 없다고. 단지 요즘엔 “몸이 예전 같지 않다”며 “’천천히 해볼까’하는 생각도 있다”고 휴식에 대한 바람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벽을 뚫는 남자’로 시작한 뮤지컬에 대한 바람은 멈추지 않았다. “사실 뮤지컬을 할 땐 공연 시간 때문에 격일로 식사를 못했어요. 두 시간 동안 계속 뛰어다니다 보니 자연스레 다이어트가 된 것 같아요. 그래도 기회가 된다면 뮤지컬을 계속 하고 싶어요. 무대라는 공간에서 관객들을 만나는 기회를 계속 지속적으로 가지고 싶어요”

‘해어화’의 마지막 신엔 소율의 회한 짙은 내레이션이 나온다. “그 땐 왜 몰랐을까요. 그렇게 좋은 걸”이라는 질문이다. 과연 유연석은 지금의 좋은 무언가를 놓치고 있는 게 있을까?
“지금 제가 하고 있는 배우로서의 삶을 나중에 후회하지 않았으면 좋겠고, 지금의 즐거움을 그대로 유지해나갔으면 좋겠어요. 재능이라는 것이 영화 속에 중요한 소재로 나오는데 전 제 재능을 잘 모르겠어요. 그래서 작품을 많이 해보는 것 같고요. 저라는 배우의 재능을 실험해 보고 싶어요. 그래서 소처럼 일하나 봐요”
먼 훗날, 지금은 몰랐던 자신의 재능에 대해 “그 땐 왜 몰랐을까요? 그렇게 좋은걸”이라 웃는 얼굴로 반문하는 날이 오기를, 소처럼 일하는 유연석에게 바라본다.
사진=하윤서 인턴기자 hays@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