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현장] 세종대왕 일대기 그린 ‘1446’, 전세계 목표로 단계적 개발 진행(종합)
[Z현장] 세종대왕 일대기 그린 ‘1446’, 전세계 목표로 단계적 개발 진행(종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임유리 기자] 세종대왕의 일대기가 뮤지컬로 다시 태어난다. 공공기관인 여주시와 민간기업인 제작사 HJ컬쳐가 전세계가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단계적 제작 과정을 차근차근 밟고 있다. 

세종 즉위 600돌 기념 뮤지컬 ‘1446’의 기자간담회가 18일 오전 서울시 중구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원경희 여주시장, HJ컬쳐 한승원 대표, 김은영 연출가, 채현원 안무가를 비롯해 배우 박유덕, 이준혁, 박소연, 김태훈, 박정원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뮤지컬 ‘1446’은 여주시와 공연제작사 HJ컬쳐가 2018년 세종대왕 즉위 600돌을 맞아 제작하는 작품이다. 세종대왕이 이룬 업적들에 집중하기보다는 그 뒤에 숨겨진 내면의 고통과 고민을 다루고, 그렇게까지 해야 했던 이유에 대해 조명할 예정이다. 

특히 여주를 대표하는 문화콘텐츠 ‘세종대왕’을 세종대왕 영릉 등 다양한 역사 유적지와 연계해 지역 브랜드 이미지를 고취함으로써 뮤지컬 패러다임의 새로운 변화도 기대된다.

원경희 여주시장은 이날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도 인정한 한굴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을 여주시에서 모시고 있다. 세종대왕은 힘없고 어려운 백성들을 위해 한글을 창제한 것은 물론 국정 전반에 걸쳐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라며, “여주시는 세종대왕의 정신을 계승해서 세계 지도자들이 찾아오는 여주를 만들고자 한다. 뮤지컬 ‘1446’을 통해 세종대왕과 한글을 전세계에 자랑하는 일들을 하려고 한다. 더욱 발전시켜서 해외에서 공연할 수 있는 기틀도 마련하고자 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뮤지컬 ‘1446’은 처음부터 세계 시장을 목표로 제작되는 작품인 만큼 트라이아웃 공연-브로드웨이 워크숍-본 공연이라는 단계적인 시스템을 도입했다. 작품의 완성도를 최상으로 끌어올리기 위함이다. 

한승원 HJ컬쳐 대표는 “세종대왕 뮤지컬을 처음엔 안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너무 뻔한 얘기일 것 같았다. (하지만) 누굴 안다는건 실제 모르는 부분도 있고, 왜곡해서 이해하는 부분도 있다. 지금까지 세종에 대해 안다는건 잘못 안게 많다고 느꼈다. 드라마적으로 상당히 재밌다. 갈등 구조, 임팩트 등 뮤지컬에 필요한 요소가 일대기에 너무 많다. 1시간 40분 짜리 공연을 하려고 했는데 2막 구조로 바꾸면서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그만큼 담아낼 재밌는 얘기가 많다”라고 작품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한승원 대표는 “작품을 하나 완성하는 측면을 넘어서 제작 과정의 단계를 주의깊게 봐주셨으면 좋겠다. 트라이아웃 공연을 하고, 해외 워크숍을 통해 다진 후에 본 공연을 하는 단계적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민간에선 시간과 돈 때문에 못했던 부분을 여주시에서 흔쾌히 일을 저질러주고 계셔서 신나게 하고 있다. 좋은 뮤지컬이 나올 것 같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작곡과 함께 연출을 맡은 김은영 연출은 “많은 조사를 했다. 세종대왕에 대해 알 수 있는 통로는 많더라.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콘텐츠로서 어떻게 접근할까 생각했을때 우린 세종의 ‘why’에 집중하기로 했다. 어떻게 이런 많은 업적을 이뤘고, 어떻게 어진 정치를 했을까에 대한 ‘how’가 아니라 왜 그렇게 했을까란 ‘why’에 집중한 작품으로 그려지고 있다”라고 작품의 방향성에 대해 설명했다.  

김은영 연출은 또한 “어지러웠던 조선의 밑거름이 된 태종과 그 기틀이 된 세종의 이야기를 꾸리면서 음악적 템포가 중요하더라. 국악 정서를 많이 담으려고 했는데 템포 때문에 현대 음악에 국악을 얹었다. 처음엔 난해하고 복잡하고 어렵다가 점점 밝고 아름다운 음악이 된다. 국악 선율은 해금, 대금이 주를 이룰거다”라고 작품의 음악적 특성에 대해 밝혔다. 

뮤지컬 ‘1446’은 오케스트라를 활용한 클래식한 현대음악과 국악기 동반 구성을 통해 한국의 색채를 담아낼 예정이다. 또한 고증의 형태를 띄지만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약 70여 벌의 의상도 등장할 예정이다. 소설,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랑받아온 콘텐츠 ‘세종대왕’이 뮤지컬을 통해 어떤 모습으로 다시 태어날지 기대가 모아진다. 

한편 뮤지컬 ‘1446’은 오는 10월 9일부터 15일까지 여주 세종국악당에서 트라이아웃 공연을 가진다. 이어 브로드웨이에서 워크숍을 가진 뒤 내년 가을 국립박물관 극장 용에서 대극장 버전의 본 공연을 올릴 예정이다. 

 

사진=하윤서 기자 h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