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인터뷰] ‘투깝스’ 조정석 “좋은 흥행 타율? 믿보배 됐으면”
[Z인터뷰] ‘투깝스’ 조정석 “좋은 흥행 타율? 믿보배 됐으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변진희 기자] 납득이, 은시경, 강셰프, 이화신 등 여러 인생 캐릭터를 남긴 배우 조정석이 이번에는 1인 2역에 도전하며 또 한 번 명품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MBC 드라마 ‘투깝스’에서 차동탁 역을 맡은 조정석은 자신의 몸에 빙의된 공수창까지, 각기 다른 캐릭터의 매력을 맛깔나게 표현하며 인기를 모았다.

성적은 좋았다. 기대보다 낮은 시청률로 시작했던 ‘투깝스’는 회를 거듭하며 탄탄한 스토리,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마지막회는 월화극 1위를 기록하며 인기리에 종영했다. 작품의 흥행에 큰 힘을 보탠 조정석은 ‘MBC 연기대상’에서 최우수상을 거머쥐었다.

제니스뉴스와 조정석이 지난 23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카페에서 MBC 드라마 ‘투깝스’ 종영 인터뷰로 만났다. 납득이처럼 위트 있었던, 차동탁처럼 진지한 면도 느낄 수 있었던 조정석과의 대화를 이 자리에 전한다.

Q.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못다한 수상소감이 있다면.
팬분들께 감사 인사를 못했어요. 고맙다고 얘기하고 싶어요. 응원해주고 사랑해준 덕분에 제가 꾸준히 작품을 할 수 있었어요. 주위에서 "안 쉬어?"라고 묻는데, 쉬지 않고 열심히 할 수 있는 원동력이에요. 소감 때 못해서 팬카페에 적었거든요. 저번에 ‘질투의 화신’으로 상을 받을 땐, 소속사 식구를 빼먹어서 불화가 있느냐는 오해도 있었어요(웃음). 사실 후보로 선정돼서 시상식에 갔을 때, 받을 줄 알고 가는 게 아니잖아요. 그렇다고 적어가면 ‘받을 줄 알았네’라고 할 테니까요. 꼭 누군 이야기를 하고, 누구는 못하고 그런 것 같아요.

Q. 1인 2역을 연기하면서 가장 신경 쓴 점은.
공수창을 연기한 김선호 관찰을 제일 많이 했고요. 어쨌든 저도 공수창을 연기해야 하니까, 선호랑 이야기를 많이 했죠. 나중엔 점점 얘기하는 시간이 줄었어요. 어느 순간부터는 같은 지점을 바라보고 있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두 인물 자체가 워낙 캐릭터 특성이 강해서, 특별히 뭔가를 준비하진 않았던 것 같아요.

Q. 김선호 씨가 칭찬을 많이 하더라.
저희가 호흡이 너무 좋았어요. 아무래도 학교 후배라 그런지, 서로 더 애착이 있었던 것 같아요. 한 작품에서 남자인 배우와 이렇게 자주 만나서 붙을 수 있을까 싶기도 했고요. 함께 많은 장면을 만들어가서 더 돈독해졌어요.

Q. 영화 ‘형’에서도 그렇고 브로맨스 연기도 참 잘한다.
브로맨스를 돋보이기 위해 특별히 노력하는 건 아니예요. 저는 앙상블을 위해 힘쓰는 것이죠. 어떤 배우와 만나던, 함께 장면을 만들어간다고 생각해요. 케미스트리라기보다는 앙상블이라고 표현하고 싶어요. 앙상블을 잘 만들었을 때, 케미스트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 같아요.

Q. 그렇다면 혜리 씨와 호흡은 어땠나.
함께 연기하면서 장면에 대한 이야기를 가장 많이 나눴고요. 연기 이야기만 하겠어요? 사적인 이야기도 하고 음악 이야기도 했어요. 저희끼리 있을 땐 정말 시끌시끌해요. 다들 유쾌한 사람들이라서요. 다들 좋은 친구들이라, 모여 있는 것 자체가 즐거웠어요. 혜리는 솔직한 사람이라, 연기할 때 솔직하게 하는 점이 좋았어요. 저랑 잘 맞았고, 좋은 배우의 자세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Q.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을 꼽자면.
저는 교도소 에피소드가 재밌었어요. 교도소에 있던 두식이가 공수창과 굉장히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인물이었거든요. 범인과도 깊은 관계성이 있었고요. 두식이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같이 공조했던 차동탁, 공수창의 이야기가 굉장히 흥미로웠어요. 연기할 때도 재밌었고, 기억에 많이 남아요.

Q. 뒷심을 발휘한 작품이라는 평이 많았다.
굉장히 기분이 좋았어요. 내가 출연한 드라마가 1위를 하면 얼마나 기분이 좋겠어요. 저뿐만 아니라, 드라마를 위해 노력한 모든 배우들과 스태프들이 뿌듯한 일이죠. 다같이 열심히 했으니까요. 작가님이 원래 계획하고 있었던 글들이 뒷심을 발휘할 수 있는 힘이 되지 않았나 싶어요. 범인이 누구인지 다들 궁금해했거든요. 물론 글뿐만은 아니겠죠. 모두가 치열하게 놓지 않고 고민한 것들 것 결실이라 생각해요.

Q. 연달아 드라마가 흥행했다. 차기작을 정하는데 고민이 많겠다.
드라마가 잘된 것은 우선 기분이 좋아요. 저에 대해 타율이 좋다고 평가해주시는 분들이 많아요. 어쨌든 ‘조정석이 드라마 한다던데, 한번 볼까?’라고 하는 게 좋지 않을까요? 뚜껑을 열었는데 생각보다 별로일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무관심보다는 좋은 것 같아요. ‘아, 역시 조정석’하는 반응이 나온다면 당연 좋겠고요.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해요. 어떤 작품이던 부담감은 똑같이 있거든요. 제가 연기하는 한 죽을 때까지 부담감은 분명 있을 거예요.

Q. 배우로서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2004년에 제가 데뷔했는데요. 공연을 하던 신인일 때 ‘뮤지컬계의 혜성이 나타났다’하면서 주목을 받았었어요. 당시 인터뷰를 하면서 ‘어떤 배우가 되고 싶어요?’라고 물으면, 항상 ‘신뢰할 수 있는 배우가 되고 싶어요. 믿음을 줄 수 있는 배우가 되고 싶어요’라고 했어요. 많은 분들께 ‘믿보배’, 믿고 듣는 배우라는 수식어가 붙잖아요. 저도 그렇게 되고 싶어요. 아직은 멀고도 험한 길인 것 같아요. 누군가의 관심을 꾸준히 받아야 하는 직업이니까요. 어쨌든 제가 좋아서 하는 직업이니까, 기분 좋은 배우가 되고 싶기도 해요.

 

사진=문화창고

 

변진희 기자
변진희 기자

bjh123@zenithnews.com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