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변진희 기자] ‘단역배우 자매사망’ 사건이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23일 방송된 MBC '아침발전소'에서는 최근 미투운동으로 재조명되고 있는 단역배우 자매사망 사건을 다뤘다.
지난 2004년 보조출연자 아르바이트 중 성폭행 피해를 입은 양 씨의 고소로 수사기관의 조사가 시작됐다. 하지만 성폭력 가해자로 지목된 12명 중 성폭행 가해자 4명을 비롯해 단 한 명도 처벌받지 않은 채 수사가 종결됐다. 피해자가 1년 7개월 만에 돌연 고소를 취하한 것. 2006년 당시는 성범죄 피해자 본인이나 대리인이 직접 고소해야만 처벌이 가능한 친고죄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같은 피해자의 고소 취하는 수사 과정에서 입은 2차 피해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했다.
피해자 양 씨의 어머니에 따르면 사건조사 당시 경찰이 양 씨에게 “(가해자의) 성기를 그려와라. 색, 둘레, 길이가 어떤지” 등의 진술 강요는 물론, “12명 상대한 아줌마인지 아가씨인지 모자 좀 벗어봐”라는 등의 언행으로 정신적인 충격을 줬다는 것이다.
여기에 고소를 취하하지 않으면 가족들에게 해를 주겠다는 가해자들의 협박이 더해지자, 양 씨는 결국 긴 싸움의 종지부를 스스로 종결 지을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이후 피해자는 신변을 비관해 2009년 자살했다.
경찰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언니의 억울함을 알리기 위해 인터넷에 글을 남기는 등 부단히 노력했다는 양 씨의 여동생은 언니의 죽음 이후 감당할 수 없는 죄책감에 같은 길을 택했다. 불과 일주일 새 사랑하는 두 딸을 잃은 자매의 아버지는 충격으로 뇌출혈로 사망했다.
하지만 이들의 죽음 뒤에도 당시 성폭행 가해자로 지목된 4명의 기획사 반장 중 2명은 지금도 현업에 종사하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아침발전소’ 취재진과 전화인터뷰에 응한 반장 B씨는 “어머니가 문제가 있다. 갖다 붙일 것 붙여라”며 성폭행 가해 사실을 부인했다.
두 딸이 숨진 4년 후 어머니는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를 했지만, 사건 발생 3년 안에만 효력을 발생하는 민사소송은 청구 기간과 맞지 않아 결국 패소했다. 이후 1인 시위를 벌인 피해자 어머니에게 돌아온 건 가해자들의 명예훼손 신고뿐이었다.
‘일사부재리 원칙’에 따라 재고소도, 당시 수사를 담당한 경찰에 대한 징계도 시효가 지나 불가능한 상황. 현재 청와대 국민청원에 ‘사건 재조사를 해달라’는 요청이 진행 중이지만 재조사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접한 MC 노홍철은 “안타까움을 넘어서 주먹을 꽉 쥐게 된다. 손에 땀이 난다. 믿기지가 않는다. 정말 있어서는 안 되는 뉴스다. 지금이야 미투운동으로 피해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만, 10년 전이면 정말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함께 MC를 맡고 있는 허일후 역시 “보면서 속에서 분노와 욕지거리가 나올 정도로 화가 났다. 한 가정이 완벽하게 파괴됐다. 오히려 2차 가해를 한 것이 경찰이었고 생각된다”며 속내를 밝히기도 했다.
2차 피해 논란은 과거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 1월 대구의 한 경찰서에는 성폭행 피해자와 가해자가 나란히 한 장소에서 사건 조사를 하고, 이를 다른 기관에 넘기려고 한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자신의 이름과 얼굴을 걸고 당당히 피해 사실을 밝힌 미투 피해자들에게도 갖가지 억측이 난무하면서 2차 피해가 진행되고 있음이 알려졌다. 안희정 전지사의 성폭력을 세상에 공개한 김지은 씨, 고 배우 조민기 씨의 성추행 사실을 밝힌 송하늘 씨의 경우 숱한 악성 댓글과 비난에 시달리고 있다.
한편 '아침발전소'는 시시각각 벌어지는 사건사고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팩트체크를 넘어 관점이 부여된 뉴스 전달을 지향하는 아침 시사정보 프로그램이다. 매주 금요일 오전 8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생방송된다.
사진=MBC ‘아침발전소’ 방송화면 캡처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