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인터뷰] '열혈사제' 김남길 ① "이런 팀 또 만날 수 있을까요?"
[Z인터뷰] '열혈사제' 김남길 ① "이런 팀 또 만날 수 있을까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열혈사제' 김남길 (사진=씨제스엔터테인먼트)
▲ '열혈사제' 김남길 (사진=씨제스엔터테인먼트)

[제니스뉴스=오지은 기자] “망가지는 연기요? 사실 코믹한 연기 굉장히 좋아해요. 어릴 때부터 꿈이 ‘한국의 주성치’가 되는 거였죠”

김남길이 SBS 드라마 ‘열혈사제’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했다. 최근 종영한 ‘열혈사제’는 다혈질 가톨릭 사제 ‘김해일’(김남길 분)와 겁쟁이 형사 ‘구대영’(김성균 분)이 살인 사건으로 만나 어영부영 공조 수사를 하는 익스트림 코믹 수사극이다. 극중 김남길은 세상과 사회에 분노하는 뜨거운 신부 ‘김해일’로 분해 열연을 펼쳤다.

김해일로 분한 김남길은 기존에 딱딱하고 시크한 모습을 버리고 코미디 연기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대중에게 새로운 이미지를 제대로 각인시켰다. 사제라는 직업을 가졌음에도 정의를 위해서라면 거침없는 발차기를 날렸고, 다혈질에 코믹한 요소를 듬뿍 넣어 세상 어디에도 없는 새로운 사제 연기를 완성시켰다.

화를 참지 못하는 분노조절장애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 때려 부수는 다혈질까지 히어로라고 부르기엔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김남길의 돌려차기와 거침없는 욕설은 시청자들에게 대리만족과 카타르시스를 선물했다. 이는 곧 높은 시청률로 이어졌다. ‘열혈사제’는 22%(닐슨코리아 유료플랫폼 기준)라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호평 속에 종영했다.

여전히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열혈사제’의 흥행 중심에 서 있는 김남길을 지난달 29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그동안 보여줬던 이미지와는 다르게 김남길은 ‘열혈사제’의 김해일 그 자체였다. 때로는 진중하면서 때로는 유쾌한 매력을 뽐낸 김남길. 그와 함께한 웃음 가득한 인터뷰 현장을 지금 공개한다.

▲ '열혈사제' 김남길 (사진=씨제스엔터테인먼트)
▲ '열혈사제' 김남길 (사진=씨제스엔터테인먼트)

Q. '열혈사제'를 마친 소감이 궁금하다.
그동안 여러 작품을 하면서 끝이 되면 항상 시원섭섭했다. 그런데 이번 작품은 허전함이 더 큰 것 같다. 긴 시간 촬영한 작품이다 보니까 가족 중에 누가 없어진 기분이다. 배우들끼리 단체 채팅방에서도 “내일 현장 가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하하. 이제는 ‘오늘 뭐 먹지?’라는 고민을 나눌 수 없어 너무 슬프다. 다른 작품들과는 다른 아쉬움이 남는 것 같다.

Q. 얼마 전 포상휴가도 다녀왔다.
휴양지다 보니까 수영장 갔다가 할 게 없어서 마피아 게임을 열심히 했다. 하하. 개인적으로 마지막 날이 되게 좋았던 것 같다. 배우들끼리 술을 조금씩 하면서 연기 이야기, 좋았던 이야기를 하면서 소소하게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이번 포상휴가는 성균이가 리드를 많이 한 것 같다. 저랑 하늬, 고준 형은 이번이 첫 포상휴가였는데, 성균이는 벌써 세 번째다. 싸온 것도 엄청 많았고, 다 조사해서 직접 가이드도 해줬다. 

Q. 정말 화기애애해 보인다. 현장 분위기가 좋았을 것 같은데.
시청률이 좋기 전에도 배우들끼리 끈끈함이 있었다. 롤이 롤이다 보니까 제가 리드를 해야 했던 부분도 많았는데, 다들 잘 따라와 주고 서로 배려하고 이해해주는 모습이 좋았다. 모난 사람이 하나도 없었고, 상대방 캐릭터를 배려하면서도 각자 알아서 잘 해내는 참 좋은 현장이었다.

드라마, 영화 콘텐츠가 제작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는 배역이란 거는 없다. 잠깐 나왔다 들어가는 단역 하나하나 모두가 중요하다. 본인이 돋보이려고 조금만 치고 나와도 앙상블이 깨질 수 있는데, ‘열혈사제’는 그런 거 없이 잘 어우러졌다. 

예전에는 타이틀롤을 맡았으면 '잘해야 한다'는 강박증이 있었다. 제가 잘 해야 같이 작업한 동료들이 인정받는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주인공은 빛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주변 배우들을 빛나게 해주는 역할이 주인공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작품에서는 제 역할뿐만 아니라 모든 배우들의 합이 잘 맞았던 것 같다. 앞으로 이런 팀을 또 만날 수 없을 것 같다.

▲ '열혈사제' 김남길 (사진=씨제스엔터테인먼트)
▲ '열혈사제' 김남길 (사진=씨제스엔터테인먼트)

Q. 극 초반 느린 스토리 전개에 불만을 가진 시청자도 있었다.
저희도 촬영을 하면서 고민을 정말 많이 했다. 처음에는 20부작이라고 하니까 작품이 길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보니 5회~9회 정도에 관계의 진전이나 사건의 발단, 해결되는 뭔가도 없이 배우들이 겉도는 느낌이었다. 다 같이 편집실에서 7부 편집본을 보고 있었는데, 편집 기사님이 “이게 몇 부죠?”라고 말할 정도로 다 비슷하고 정체된 느낌이었다. 

그런데 결과물이 나오고 보니 생각보다 반응이 나쁘지 않아서 놀랐다. 캐릭터 각각의 스토리가 좋고 재미있기 때문에 좋은 결과가 나온 거라 생각한다. 결과적으로 잘 됐기 때문에 캐릭터성이 강한 드라마라고 좋게 받아들여졌지만, 사실 뒷부분은 다소 급하게 풀어나간 느낌도 있어서 아쉽다.

Q. 중간에 부상도 당했는데, 이제는 괜찮은지?
갈비뼈는 생각보다 빨리 붙었는데, 손목은 계속 쓰다 보니까 여전히 조금 불편하다. 처음 ‘열혈사제’를 들어갔을 때는 시간이 넉넉해서 여유가 있었다. 해볼 만할 때 갑자기 부상을 입었다.

촬영을 보름 정도 앞서가고 있어서 퀄리티에 자신 있었는데, 다치면서 마음이 불안해졌다. 스태프들은 결방 결정하고 쉬라고 이야기했다. 그런데 이제 알려지기 시작한 때인데 극의 흐름을 끊을까 봐 걱정됐다. 그래서 빨리 퇴원해버렸다. 그때부터 열심히 촬영해서 마지막 화까지 거의 생방송처럼 촬영했다. 모두 힘들었을 텐데 미안했다. 

Q. 그만큼 ‘열혈사제’의 액션신이 굉장히 인상 깊었다. 
따로 준비한 건 없는데, 이번 작품의 무술 감독님이 저랑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다. 그 감독님은 제가 뭘 잘 할 수 있고, 또 그걸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아는 분이었다. 그래서 준비할 때부터 잘 할 수 있는 거 위주로 짜다 보니까 전체적인 합이 좋아졌던 것 같다.

옛날에 액션을 할 때는 ‘와! 내가 액션을 해!’라는 것처럼 힘이 많이 들어갔는데, 이제는 많이 유연해진 느낌이다. 사실 몸이 예전 같지 않은 것도 이유 중 하나다. 하하. 예전에는 근육이 많은 게 좋은 몸이라 생각했는데, 이제는 유연한 몸이 좋은 것 같다. 액션을 할 때도 무용처럼 하는 게 예뻐 보인다. 

▶ 2편에서 계속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