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션 디자이너, 파리패션위크 점령... 전 세계 사로잡은 made in 서울
K-패션 디자이너, 파리패션위크 점령... 전 세계 사로잡은 made in 서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K-패션 디자이너, 파리패션위크 점령... 전 세계 사로잡은 made in 서울 (사진=한국패션산업협회)
▲ K-패션 디자이너, 파리패션위크 점령... 전 세계 사로잡은 made in 서울 (사진=한국패션산업협회)

[제니스뉴스=오지은 기자] 한국 패션 디자이너들이 파리패션위크를 점령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30일 “2020 S/S 시즌 파리패션위크와 연계한 마케팅 프로그램 '케이 컬렉션 인 파리(K Collection in Paris)'를 진행해 큰 세일즈 성과를 이루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파리패션위크 기간에 맞춰 한국패션산업협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K패션오디션’ 에 참가한 디자이너 중 7인을 선정, 파리 현지에서 패션쇼와 쇼룸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 디자이너들의 해외 비즈니스 판로 개척의 발판을 지원하고 '메이드 인 서울(made in Seoul), 동대문'에서의 생산기지 확보 등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획됐다.

전시는 지난 27일부터 10월 2일까지 6일간, 트라노이(Tranoï) 더쇼룸즈에서 진행된다. 트라노이는 매년 2회씩 파리와 상해에서 개최되는 패션 트레이드쇼로, 참관 바이어의 높은 퀄리티로 유명하며 유럽 바이어뿐 아니라 중동지역, 아시아 지역 바이어들로부터 영 디자이너의 등용문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디자이너 브랜드 비뮈에트, 제이청, 분더캄머, 참스, 그리디어스, 티백, 비건타이거가 참여한다. 

또한 지난 28일에는 전시와 함께 ‘케이컬렉션 인 파리’라는 이름으로 패션쇼도 진행해 눈길을 끌었다. 비뮈에트, 제이청, 분더캄머 3개 브랜드가 참여한 이날 패션쇼를 보기 위해 국내외 유력 미디어, 패션 인플루언서, 바이어 등 업계 관계자 약 300여 명이 자리했으며, 쇼가 끝난 후에도 수준 높은 디자인의 컬렉션에 박수갈채를 아끼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비뮈에트 서병문 디자이너는 “크리스찬 디올, 생로랑, 에르메스, 샤넬 등의 럭셔리 브랜드와 같은 기간에 파리에서 쇼를 선보일 수 있다는 것이 꿈만 같다”며 “정부와 기업이 브랜드 육성을 위해 앞장서는 K패션오디션과 같은 사업이 앞으로도 계속 많아지길 바란다”며 소감을 밝혔다.

파리에서의 한국 패션 디자이너 활약은 단순히 K-패션을 전 세계에 알리는 것을 넘어 지역경제까지 살리는 고부가가치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사업에 참여한 디자이너들 역시 패션산업의 메카인 동대문을 생산 기지로 메이드인 코리아, 서울의 퀄러티를 걸고 파리까지 진출한 사례다.

동대문은 국내 섬유 패션 매출의 17%, 수출의 21%, 고용의 26%를 차지할 정도로 패션의류 생산 및 유통이 집적된 국내 최대 패션의류 특화 클러스터로서, 1일 유동인구가 100만 명 수준에 육박하는 K-패션의 중심지이자,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의 시초다.

지난 1905년 광장시장이 설립되고 1990년대 남대문시장을 제치고 현대식 최대 도매 상권으로 부상, 1998년부터 밀리오레, 두타 등 대규모 소매상권이 형성되면서 지금의 국내 패션의류 중심인 동대문이 탄생했다. 자그마치 매출은 15조 원 규모로 섬유 패션 전체 매출(연 87조 원)의 17%를 차지하며, 수출은 30억 불 규모, 업체는 25천 개 규모, 종사자만 18만 명에 달한다.

한국패션산업협회 관계자는 “뉴욕판 동대문으로 불리는 ‘가먼트 디스트릭트’는 패션산업 고부가가치화 기반을 바탕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의 하이엔드 패션으로 사업방식을 고수한다“며 “이제는 우수한 디자인과 높은 퀄리티를 갖추고 있는 동대문에서 만들어진다는 것만으로도 한국 패션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고 앞으로의 패션 고부가가치산업의 핵심이다. 잘 마련된 동대문이라는 발판 위에 디자이너들이 전 세계로 뿌리를 뻗어나갈 수 있도록 미래 한국 패션 산업의 성장 동력을 찾는데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