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랑가' 박인혜 "판소리 통해 이야기와 감정, 상황 전달하는 것에 중점"
'아랑가' 박인혜 "판소리 통해 이야기와 감정, 상황 전달하는 것에 중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임유리 기자] 배우 박인혜가 판소리 작창을 하면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에 대해 설명했다. 

17일 오후 4시 서울 중구 충무아트홀 중극장블랙에서 뮤지컬 ‘아랑가’의 프레스콜이 열렸다. 행사에는 개로 역의 강필석 윤형렬, 아랑 역의 최주리 김다혜, 도미 역의 이율 고상호, 도림 역의 이정열 김태한, 사한 역의 최석진 김현진, 도창 역의 박인혜 정지혜 등의 출연 배우와 김가람 작가, 이한밀 작곡가가 참석했다.

작품에서 극을 전반적으로 해석하는 해설자인 도창을 맡은 배우 박인혜는 극중 등장하는 모든 판소리의 작창도 담당했다. 이에 박인혜는 "먼저 김가람 작가에게 대본을 받았고, 판소리가 작품에서 도창의 역할로 쓰이고 싶다고 (박동우) 예술감독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래서 판소리가 극중 어떤 장면에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어떻게 구현될 것인가를 생각했다"며, "여기서 가장 중점을 둔 것은 판소리를 판소리답게 부르겠다는 거다. 판소리답게 부른다는 것은 음악적인 것도 포함하지만 문학적인 면도 포함하고 있다"고 작창에 있어서 중점을 둔 부분에 대해 설명했다. 

더불어 "판소리 가사를 들여다보면 마치 어떤 장면에서는 서사가 쭉 진행되다가 그 한 장면을 위해서 카메라가 줌되면서 거길 아주 세세하고 섬세하게, 때로는 장황하게 열거를 해나간다. 그런 것이 리얼리티를 살리면서 관객들에게 상상을 불어넣어줄 수 있는 판소리의 가장 큰 특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며, "그런 점을 살려서 무대 위에서 아주 화려한 퍼포먼스가 없어도 가능한 판소리 사설과 소리를 통해 사한이 죽음을 당하고, 활이 날아다니고 하는 것들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이어서 박인혜는 "사실 판소리는 대중들에게 가까운 장르는 아니다. 어떤 면에 있어서는 무척 테크닉적으로 느껴지는 분야다. 그래서 그 테크닉보다는 판소리가 갖고 있는 본질, 이야기를 전달하고, 감정과 상황을 전달하는 것에 중점을 두려고 했다"고 덧붙였다. 

2015 서울뮤지컬페스티벌 예그린 앙코르 당선작인 뮤지컬 ‘아랑가’는 ‘도미설화’를 바탕으로 판소리와 뮤지컬 넘버를 극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여 서양과 동양 음악의 절묘한 조화를 추구했다. 백제의 왕인 개로가 꿈 속 여인인 아랑의 환상에 사로잡혀 파멸로 향하는, 아름답지만 비극적인 인생과 사랑을 노래한다. 지난 14일 개막한 뮤지컬 ‘아랑가’는 오는 4월 10일까지 충무아트홀 중극장블랙에서 공연된다. 

 

사진=제니스뉴스 영상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