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구현의 필름시럽] '인천상륙작전' 꼭 알아야 할 역사, 더 잘 그렸어야 했던 희생
[권구현의 필름시럽] '인천상륙작전' 꼭 알아야 할 역사, 더 잘 그렸어야 했던 희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권구현 기자] 6.25 한국 전쟁의 판도를 바꾼 ‘인천상륙작전’.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가장 큰 사건 중 하나이지만 우리는 그 실상을 정확히 알지는 못한다. 영화 ‘인천상륙작전’은 그 지점에서 시작한다. 맥아더 장군만 기억하는 우리에게 그 이면엔 수많은 국군의 희생이 있었음을 알린다.

인천상륙작전을 위해 펼쳐졌던 대북 첩보작전 ‘X-RAY’는 장학수(이정재 분)가 위장 침투를 위해 박남철(박성웅 분)을 살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두 배우의 강렬한 연기는 관객들을 극 중으로 끌어들이기 충분하다. 특히 이정재는 인생 영화를 만난 듯 처음부터 끝까지 자신의 연기력을 마음껏 표출한다. 또한 북한 인천 방어사령관 림계진의 연기도 시종일관 빛난다.

하지만 조상들의 숭고한 희생이 너무 무거웠던 걸까? 영화에 그려지는 모습들이 그리 매끄럽지 못하다. 기뢰가 설치된 해도를 훔치기 위한 대북 첩보작전은 스릴 넘치게 돌아간다. 시나리오를 읽고 기대를 금치 못했다던 배우들의 이야기가 거짓이 아니었던 대목이다. 하지만 그 속에 희생되어 가는 부대원들의 모습에 감정이 크게 동요되지 않는 건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가 부족했기 때문일 터다.

물론 영화 끝자락에 각 부대원들의 사연을 인터뷰 형식을 빌어 담아냈다. 하지만 이미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한 뒷이야기다. 구구절절 눈물을 강요하며 지나간 신파에 감동을 설명을 덧대자니 다소 뒤늦은 느낌이 있다. 또한 영화 중간 흑백으로 삽입된 맥아더(리암 니슨 분)의 회상신은 극의 몰입을 깨뜨리는데 한 몫 한다.

여기에 특별 출연한 배우들도 아쉽다. 이름 모를 켈로(KLO) 부대원이나 북한군이었을텐데, 너무 유명한 인물이다 보니 시선이 그들에게만 집중된다. 또한 말 그대로 갑자기 툭 튀어나온 추성훈의 격투 능력은 액션 영화의 모양새는 더했지만 극의 흐름과 너무도 동떨어진다. 캐스팅 소식만으로 작년부터 영화를 화제의 중심에 올려놨던 리암 니슨 보다 더 튀는 존재감이다. 물론 이는 리암 니슨이 그저 ‘맥아더의 명대사 읽어주는 남자’ 정도의 역할만 하는 것도 이유일 터다.

여러 길을 돌아왔지만 우리 전쟁사에 이름도 남기지 못하고 떠난 호국영령들을 기린다는 제작의도는 감사할 일이다. 비슷한 정서를 그려냈던 ‘연평해전’의 성공에 비추어볼 때 흥행 요소도 분명 갖췄다. 물론 반공 정서가 담겨있지만 그 시대상을 그려내자면 어쩔 수 없을 일. 북한군의 무자비한 사상재판 등이 그려졌음에도 불구하고 12세 관람가라는 부분이 다소 의아하지만, 많은 이들이 인지해야 할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너그러운 등급도 이해되는 부분이다.

영화 ‘인천상륙작전’은 오는 27일 개봉한다.

 

사진=CJ엔터테인먼트

권구현 기자
권구현 기자

kvanz@zenithnews.com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