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 시장은 지금 ② 할리우드 프랜차이즈 vs 한국 다양한 장르
극장 시장은 지금 ② 할리우드 프랜차이즈 vs 한국 다양한 장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권구현 기자] CJ CGV가 2018 영화 및 극장 시장의 결산 키워드로 20대 고객과 팬덤, 그리고 입소문을 제시했다. 나아가 2019년 영화 산업의 비전으로 '헤비 유저' 증가 및 '워라벨' 트렌드 확대를 꼽았다.

‘2018 하반기 CGV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이 6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강로동 CGV용산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이승원 CGV 마케팅담당이 '2018년 영화산업 결산 및 2019년 전망’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올 한 해 시장 트렌드를 정리했다.

● 공습 ! 할리우드 프랜차이즈

CGV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2018년 전국 관람객은 11월 말 기준 누적 약 1억9400만명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99% 수준이다. 이 추세라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조금 줄어든 수준에서 올 한 해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역시 한국영화와 외국영화가 팽팽히 맞선 가운데 한국영화가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일 전망이다. 11월까지 한국영화 비중은 51%로 외화를 앞섰다.

2018년 외화 트렌드는 ‘프랜차이즈’라는 말로 집약된다. 100만 이상 영화 중 프랜차이즈 영화 비중은 무려 62%다. 지난해 50% 대비 12%p 높아졌다. 이 또한 시리즈의 시작을 알리는 1편은 제외한 수치다. 세계의 흐름 역시 다르지 않았다.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2018년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0위 안에 무려 8편이 프랜차이즈 영화가 이름을 올렸다.

그 중심에는 MCU(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서 있다. MCU는 2월 ‘블랙팬서’(8위, 539만명), 4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2위, 1121만명), 7월 ‘앤트맨과 와스프’(6위, 544만명)가 모두 흥행에 성공했다. 이로써 MCU는 누적관람객 1억명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

뿐만 아니다.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은 전편 대비 260%의 예매률을 역대 최고 예매률을 기록했다. 자녀를 둔 부모들이 앞다투어 예매 전쟁을 벌인 결과다. 또한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은 지난 2006년 ‘미션 임파서블3’ 이후 편당 평균관객 635만명을 기록하고 있다. 이승원 마케팅담당은 “시리즈의 유일한 걸림돌은 톰 크루즈의 나이”라며, “앞으로도 나오기만 하면 600만은 넘길 기세”라고 전했다.

또한 이승원 마케팅담당은 “프랜차이즈 영화의 무서운 점은 영화 관람객의 충성도”라며, “작품이 관람객과 함께 나이를 먹어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 반격 ! 충무로 전방위 방어

반면 한국영화는 나름 다양하게 선전했다. ‘신과함께’ 시리즈가 1, 2편 모두 천만 관객을 동원하며 우리도 프랜차이즈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기념비를 세웠다. 또한 개성 강한 한국형 액션의 ‘독전’, ‘마녀’, ‘공작’은 300만 이상 관객을, 최근 몇 년 간 주목을 받지 못했던 공포, 로맨스 장르의 ‘곤지암’, ‘너의 결혼식’, ‘지금 만나러 갑니다’는 200만 이상 관객을 동원했다.

지난 2017년 CJ CGV 미디어포럼 당시 발표 결과에 따르면 20대 관객의 니즈로 독특함, 특별함, 신선함, 가성비, 공감대가 상위에 랭크됐다. 선호 영화 역시 ‘겟아웃’ ‘장산범’ ‘23아이덴티티’ ‘애나벨: 인형의 주인’ ‘킬러의 보디가드’ 등 개성 강한 영화들이 상위 포진했다.

이러한 니즈에 충족됐던 영화들이 올해에도 20대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올해 20대 선호영화 5에는 ‘더 넌’ ‘너의 결혼식’ ‘데드풀2’ ‘곤지암’ ‘리틀 포레스트’가 선정됐다. 순위에 있는 한국영화 세 작품은 기존 상업 영화와는 사뭇 다른 노선을 선보인 장르 영화였다.

이승원 마케팅담당은 “한국영화는 올해 대형 외화 프랜차이즈들 속에서 고군분투하며 한국영화산업의 양적인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 모두에서 충분한 성과를 냈던 한 해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사진=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롯데엔터테인먼트
 

권구현 기자
권구현 기자

kvanz@zenithnews.com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