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랑가' 윤형렬 "전형적인 악역 개로왕, 관객에게 설득시키기 위해 노력"
'아랑가' 윤형렬 "전형적인 악역 개로왕, 관객에게 설득시키기 위해 노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임유리 기자] 배우 윤형렬이 자신이 맡은 역을 어떻게 해석했는지 밝혔다. 

17일 오후 4시 서울 중구 충무아트홀 중극장블랙에서 뮤지컬 ‘아랑가’의 프레스콜이 열렸다. 행사에는 개로 역의 강필석 윤형렬, 아랑 역의 최주리 김다혜, 도미 역의 이율 고상호, 도림 역의 이정열 김태한, 사한 역의 최석진 김현진, 도창 역의 박인혜 정지혜 등의 출연 배우와 김가람 작가, 이한밀 작곡가가 참석했다.

윤형렬은 이날 "감정선이 왔다갔다 하는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어떻게 해석하고 소화했나"라는 질문에 "작품을 하게 됐을 때 조금 찾아봤다. 사실 현실이 아니지 않나. 내가 알기로 개로왕은 패자의 나라인 백제의 왕이었고, 그 왕을 비하하기 위한 이야기로 나온 것이 도미설화라고 들었다"라며, "사실 도미설화 내용상으로 보면 (개로왕은) 전형적인 악역이다. 그래서 지금 극에는 악역이 악역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는 장면이 많다. 저희들이 가장 힘들었던 부분이 그거다"라고 대답했다. 

이어서 윤형렬은 "예쁘게 볼래야 볼 수 없는 개로를 어떻게 관객에게 설득시킬 것인가. 그런 부분에서 프롤로그에 나오는 태자의 저주라던지 이런 어릴 적부터 받아온 시달림에 의해서 자라온 태자라면 상식 밖일 것이라고 생각한 것도 있다"며 "궁지에 몰릴대로 몰린 태자가 꿈 속의 여인 아랑을 찾게 되면서 더이상 갈 곳 없는 사람에게 한줄기 빛이 떨어지는데 다른게 보이겠나. 그것만 보일 것이다. 그래서 그걸 향해 치닫는 모습을 저희가 관객분들에게 이해를 시키는 게 가장 큰 숙제이자 목적이었다. 최대한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던 불쌍한 모습을 보여드리려고 노력을 많이 했다"며 역할 해석에 있어서 가장 중점을 둔 부분에 대해 밝혔다. 

2015 서울뮤지컬페스티벌 예그린 앙코르 당선작인 뮤지컬 ‘아랑가’는 ‘도미설화’를 바탕으로 판소리와 뮤지컬 넘버를 극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여 서양과 동양 음악의 절묘한 조화를 추구했다. 백제의 왕인 개로가 꿈 속 여인인 아랑의 환상에 사로잡혀 파멸로 향하는, 아름답지만 비극적인 인생과 사랑을 노래한다. 지난 14일 개막한 뮤지컬 ‘아랑가’는 오는 4월 10일까지 충무아트홀 중극장블랙에서 공연된다. 

 

사진=제니스뉴스 영상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