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tvN 10주년 ⑥ 스크린에서 브라운관으로... tvn 찾는 배우들
[특집] tvN 10주년 ⑥ 스크린에서 브라운관으로... tvn 찾는 배우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안하나 기자] 2006년 10월 개국해 참신하고 색다른 콘텐츠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아 온 채널 tvN이 개국 10주년을 맞이했다.

tvN은 초반 ‘선정성’과 ‘병맛’ 코드로 인해 많은 사람이 외면했다. 허나 지금은 다양하고 독특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뒀다. 급기야 지상파까지 위협할 정도로 몸집이 커졌다.

특히 올해는 10주년을 기념해 tvN에서 야심차게 ‘tvN 어워즈’와 ‘tvN 페스티벌’을 준비했다. 10년간 수많은 작품으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만큼, 여느 시상식과는 달리 다양하고 풍성했다. 이에 tvN 드라마, 예능에 출연해 빛냈던 수많은 스타들도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그래서 준비했다. tvN이 10주년을 맞이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작품들과 스타들을 소개한다.

▶ tvN으로 몰리는 톱스타들

안방극장에서 좀처럼 보기 힘들었던 배우 김혜수, 조진웅, 전도연, 최지우, 유지태 등이 브라운관에 속속 복귀하고 있다. 그것도 지상파가 아닌 일명 ‘케드’라 불리는 케이블 드라마다.

톱스타들이 케이블 드라마의 대표적 방송국인 tvN을 찾는 것에는 몇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첫 번째는 tvN의 자유로운 제작 환경이다. tvN은 지상파보다 자유로운 편성이 가능하다. 월화드라마, 금토드라마, 혹은 토요드라마 등 다양한 편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편성에 대한 압박이 덜하고, 스케줄 조절도 용이하다.

또한 두 번째는 케이블이라는 채널에 대한 부담감이나 선입견이 사라진 점이다. 특히 작품이 성공할 경우 지상파 드라마 이상의 주목을 받고, 설령 실패하더라도 위험부담은 더 낮다. 이는 스타들이 선택할 수밖에 없는 매력적인 조건이다.

여기에 스타 PD와 인기 작가들의 만남은 자연스럽게 톱스타들을 tvN으로 이끈다. 올 하반기에도 공유-김은숙 작가의 ‘도깨비’가 시청자들을 만난다.

▶ 안방극장에 복귀한 스타들의 성적표는?

야심차게 tvN을 통해 얼굴을 내비친 스타들이 모두 웃었던 것은 아니다. 김혜수, 고현정, 전도연, 조진웅 등이 웃었다면 신하균, 김고은, 박소담은 아쉬움의 고배를 마셨다.

‘시그널’은 김혜수, 조진웅, 이제훈의 만남으로 주목을 받았다. 특히 그동안 영화에서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을 선보였던 김혜수에 대한 기대는 매우 높았다. 김혜수는 기대를 만족감으로 충족시켜줬다. 그는 조진웅, 이제훈과 완벽한 호흡은 물론,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여형사로 완벽하게 변신했다. 이는 ‘시그널’의 흥행에 자연스럽게 연결됐다.

김혜수 옆에서 호흡을 맞췄던 조진웅 역시 ‘시그널’ 흥행의 주요 요소다. 조진웅은 ‘시그널’에서 평소에는 무뚝뚝하지만 알게 모르게 여주인공 수현(김혜수 분)을 챙겨주는 자상한 선배 경찰 이재한을 연기하며 시청자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특히 그는 여성 시청자들에게 ‘아재파탈’, ‘아재 신드롬’을 일으키며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궜다. 하지만 조진웅은 ‘시그널’의 인기에 비해 많은 상을 수상하지 못했다. 과연 이번 시상식에서는 그 한을 풀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고현정 역시 ‘디어 마이 프렌즈’에서 박완 역을 맡아 중년 배우들과 호흡을 맞췄다. 그는 대한민국에서 내로라하는 배우 김혜자, 고두심, 주현, 신구 사이에서도 전혀 밀리지 않았다. 고현정은 가감 없는 연기로 청춘과 노년 세대의 화해를 끌어냈고, 조인성과의 애절한 러브스토리로도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전도연을 빼놓을 수 없다. 전도연은 2005년 SBS 드라마 ‘프라하의 연인’ 이후 11년 만에 ‘굿와이프’로 브라운관으로 복귀했다. 그는 긴 공백이 무색할 만큼 완벽한 연기력을 선보였고, 성공적인 복귀작이라는 평이 이어졌다. 또한 그는 법정드라마, 불륜 등 어렵고도 깊은 이야기가 담긴 드라마 속에서 많은 것을 해냈고, 그 결과 ‘굿와이프’는 영화 같은 드라마라는 수식어를 얻게 됐다.

반면 ‘피리부는 사나이’에 출연한 신하균과 '치즈인더트랩' 김고은,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에 출연한 박소담은 기대했던 것보다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매회 1% 내외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대중들과 크게 소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우들은 출연한 작품에 대해 무한한 애정을 드러내며 만족감을 표했다.

시청률로 안방극장에 복귀한 스타들의 성적을 매길 수 없다. 그저 장르와 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열연하고 있는 그들이 있기에 올 하반기에 멋지게 등장할 모습이 기다려진다.

 

사진=tvN, 제니스뉴스DB, 하윤서 기자 hay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