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현장] 창립주가 말하는 넷플릭스의 #혁신 #현주소 #아시아
[Z현장] 창립주가 말하는 넷플릭스의 #혁신 #현주소 #아시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니스뉴스 싱가포르=변진희 기자] 넷플릭스가 2019년 라인업 발표에 앞서 넷플릭스의 과거와 현재를 소개하는 프레젠테이션을 가졌다.

2019 넷플릭스의 라인업을 소개하는 'See What’s Next: Asia'가 8일(현지시간)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창립자, 테드 사란도스 최고 콘텐츠 책임자, 로빈 라이트 총괄 프로듀서, 에리카 노스 동남아 콘텐츠 디렉터, 심란 세티 인도 콘텐츠 디렉터, 김민영 한국 콘텐츠 책임자, 타이토 오키우라 인터네셔널 오리지널 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 넷플릭스는 지금
#인터넷 #개인화 #이야기꾼

리드 헤이스팅스는 인터넷의 발전을 활용해 넷플릭스가 성장했음을 강조했다. 그는 “오늘날 엔터테인먼트계의 또 다른 혁명이 왔다. 인터넷이다. 인터넷이 세상을 변화시켰다”면서 “첫 번째 변화는 보고 싶을 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오전, 오후, 몰아보기, 정주행을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또 다른 변화는 개인화다. 제가 가지고 있는 계정의 인터페이스는 저만을 위한 것이다. 새로운 계정을 열게 되면 본인이 시청하고 싶어하는 것, 평소에 시청하고 싶은 것에 대한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한다. 개인에게 잘 맞춰진 영화관을 제공하는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인터넷으로 글로벌한 공유가 가능해졌다. 우리는 전 세계의 콘텐츠를 모두와 공유할 수 있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리드 헤이스팅스는 “우리는 위대한 이야기꾼들을 모아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넷플릭스에서는 다양한 문화를 뛰어 넘는 이야기를 수많은 사람들에게 원할 때, 개인화를 해서 제공한다”라고 넷플릭스의 강점을 어필했다.

▶ 넷플릭스의 성장
#DVD #스토리텔러 #하우스 오브 카드 

넷플릭스는 지난 1997년 레드 헤이스팅스와 마크 란돌프가 설립했다. 1998년에는 DVD 대여 서비스를 시작으로 공식 사이트를 론칭했고, 199년부터 DVD 무제한 대여 요금제를 도입했고, 2000년부터는 넷플릭스 회원의 평을 토대로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선보였다. 2007년부터 PC에서 TV 쇼와 영화를 시청할 수 있는 스트리밍 기능을 도입해 해를 거듭하며 미국, 캐나다, 라틴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으로 제공 국가를 확대해갔다.

테드 사란도스는 “넷플릭스는 190개국, 약 1억 3천 700명 인원에게 20개의 언어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저희의 핵심철학은 뛰어난 이야기는 어디서든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최고의 스토리텔러들과 협업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에 한국 콘텐츠인 ‘범인은 바로 너!’, ‘킹덤’의 작품성을 높게 평가했다.

테드 사란도스는 ‘하우스 오브 카드’가 넷플릭스의 성장에 큰 공헌을 한 작품으로 꼽았다. 지난 2013년 첫 선을 보인 ‘하우스 오브 카드’는 넷플릭스의 역사와 함께했으며, 이번 시즌을 마지막으로 대장정의 막을 내릴 예정이다.

‘하우스 오브 카드’의 로빈 라이트는 “우리가 목표를 이룬 것에 대해 감사하고 자부심을 가진다.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정치계의 악랄하면서도 조정한 부분을 그리고 싶었다. 잘 진행한 것 같다”라고 마지막 시즌을 선보이는 소감을 전했다.

▶ 아시아 그리고 한국으로
#킹덤 #범인은 바로 너 #크레이에티브 

MC는 “넷플릭스 아시아 지역 오리지널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담당하는 임원들을 모시겠다”라고 소개하며 에리카 노스, 심란 세티, 김민영, 타이토 오키우라가 등장했다.

“한국은 넷플릭스에 어떤 특별한 콘텐츠 제공하는가?”라는 물음에 김민영은 “한국 시장의 경우는 기존에 재능 있는 배우가 많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에서 최상의 콘텐츠를 발굴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제작자들이 기존의 플랫폼에서 할 수 없었던 이야기를 넷플릭스에서 할 수 있도록 한다”라고 답했다.

특히 김민영은 ‘범인은 바로 너!’와 ‘킹덤’을 극찬했다. 그는 “새로운 형식 중 하나는 ‘범인은 바로 너!’였다. 제작자가 굉장히 비전이 확실하고 자신감이 있었다. 수년간 제작자로서 일을 해왔기 때문에 어떻게 이 프로그램을 차별화시킬 수 있을지 확실한 비전을 가지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킹덤’의 경우는 저희가 먼저 작가분께 제안을 했다. 전통적인 시스템에서 만들 수 없는 콘텐츠고, 장르적인 면에서도 다르다고 생각했다. 콘텐츠 자체가 훌륭하기 때문에 한국 드라마를 보지 않은 분들도 재밌게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인도의 콘텐츠와 관련해 심란 세티는 “인도에서는 많은 이야기의 원천이 책에서 나온다. 긴 장편, 시리즈로 만들 수 있는 작품을 찾고 있다.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도 보고 있다. 12월에 개봉을 앞둔 시리즈도 있다”라고 소개했다.

또한 에리카 노스는 넷플릭스가 찾는 크리에이티브에 대해 “저희는 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비전이 있는 크리에이티브를 찾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이야기를 가진 분들과 일을 하고 있다”면서 “지금 대만에서 제작하는 작품의 경우 감옥을 탈출하는 이야기다. 로맨스도 있다. 동남아시아뿐 아니라 그 외의 지역에서도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밝혀 기대를 높였다.

 

사진=넷플릭스

변진희 기자
변진희 기자

bjh123@zenithnews.com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