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임유리 기자] 모두 다른 길을 가고 있지만 원하는 건 결국 ‘행복’이다. 안나는 행복해지기 위해 사랑을 택했지만 그 끝은 결국 비극이었다.
러시아의 문호 톨스토이의 걸작이 뮤지컬로 탄생했다. 국내 초연하는 러시아 뮤지컬 ‘안나 카레니나’를 통해서다.
‘안나 카레니나’는 ‘안나’라는 한 여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사랑, 결혼, 가족이라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보편적인 소재를 다룬 작품이다. 지금까지 10여 차례 영화로 제작되며 전 세계적으로 사랑 받고 있다.
이번 공연은 러시아의 유명 뮤지컬 프로덕션 ‘모스크바 오페레타 씨어터’의 세 번째 작품으로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러시아 뮤지컬이기도 하다. 그렇다 보니 개막 전부터 큰 관심을 모았는데, 타이틀 롤을 국내 최고의 뮤지컬 배우 정선아, 옥주현이 맡으면서 기대는 한층 배가됐다.
하지만 원작의 방대한 이야기를 모두 담기에 2시간 남짓한 공연시간은 턱없이 부족했다. 이에 막을 올린 '안나 카레니나'는 이야기를 최대한 생략, 압축하고, 안나의 여정에 포커스를 맞췄다. 그렇다 보니 원작에서 안나와 대비를 이루는, 농촌에서 성실하게 살며 행복을 찾는 레빈의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축소됐다.
안나가 왜 그런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19세기 후반 러시아 사교계, 귀족사회의 제도, 연애에 대한 섬세한 설명이 필요한데, 이 또한 상당 부분 생략됐다.

이런 쉽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작품 속 다양한 장치들과 배우들의 열연은 스토리에 당위성을 부여한다.
특히 안나 역을 맡은 정선아와 브론스키 역을 맡은 민우혁은 첫 만남 후 사랑에 빠진 남녀의 감정 변화를 풍부하게 그려내 몰입감을 더한다.
이야기를 압축하면서 설명이 충분하지 못한 부분들은 MC의 존재, 혹은 넘버의 가사를 통해 조금은 상쇄된다. MC는 극이 진행되는 동안 “규칙을 지켜라, 그렇지 않으면 신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 노래하고, 당시 귀족들의 사교계는 넘버를 통해 그려낸다.
작품은 시종일관 눈보라 치는 러시아의 날씨, 마치 롤러코스터를 탄 것처럼 격하게 휘몰아치는 감정들이 쉴새 없이 소용돌이 친다. 강약 조절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강렬한 느낌을 전달한다. 안나와 브론스키의 이러한 감정은 각각의 넘버를 통해 효과적으로 표현된다. '눈보라', '당신 내 곁에 없다면' 등 귀를 사로잡는 넘버들이 포진해 있어 압축된 이야기에 감성을 더한다.
무대 장치와 조명, 영상을 활용한 심리 표현 또한 매우 인상적이다. 특히 간단한 구조물들이 움직여서 조합을 만들고 그 위에 영상이 덧입혀지면 다양한 무대 배경으로 변화하는 모습은 무대 예술의 진화가 느껴진다.

작품은 "이 길이 어디로 향하든 간절히 원하는 한 가지, 행복"이라 노래한다. 겉으로 보기엔 모든 것을 다 가진 듯 했던 안나가 원했던 건 사랑을 통한 행복이었지만 결국 파멸하고 만다.
모두가 자신이 원하는 행복을 향해 어디론가 향하고 있다. ‘안나 카레니나’는 작품을 통해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정한 행복은 무엇인지 물음표를 던진다.
뮤지컬 ‘안나 카레니나’는 오는 25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한다. 안나 역에 정선아, 옥주현, 브론스키 역에 이지훈, 민우혁, 카레닌 역에 서범석, 황성현, 레빈 역에 최수형, 기세중. 키티 역에 이지혜, 강지혜가 출연한다.
사진=마스트엔터테인먼트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