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뉴스=오지은 기자] 배우 정일우가 2년 6개월 만에 돌아왔다. 오랜만에 갖는 대중과의 만남에 어색할 법도 했지만 정일우는 긴 공백이 무색할 만큼 몰입도 높은 연기를 선보이며 완벽한 컴백을 알렸다. 데뷔 13년 차의 노련함일까? 감정 신부터 많은 대사량, 액션과 사건사고까지 여러 힘든 일이 겹쳤음에도 정일우는 여유롭고 완벽하게 극을 완성해냈다.
SBS 드라마 ‘해치’는 천한 왕자가 열정 가득한 과거 준비생 ‘박문수’(권율 분)와 사헌부 열혈 다모 ‘여지’(고아라 분), 저잣거리 왈패 ‘달문’(박훈 분)과 힘을 합쳐 대권을 쟁취하는 과정을 담은 작품이다. 극중 정일우는 숙종의 아들이지만 모친인 숙빈 최씨가 천민이기에 ‘천한 왕자’로 불린 연잉군 이금 역을 맡았다.
‘해치’는 조선시대 사헌부와 영조의 청년 시절을 다룬 스토리로 공개 전부터 주목을 받았다. 특히 ‘돌아온 일지매’, ‘해를 품은 달’, ‘야경꾼일지’ 등 사극에서 좋은 성과를 보였던 정일우가 소집해제 후 복귀작으로 선택해 많은 관심이 모였다.
많은 팬들의 기다림에 부응하듯 정일우는 특유의 능청스러운 연기부터 무게감 있는 진지한 모습까지 다채로운 연기를 선보이며 그만의 캐릭터를 구축해갔다. 덕분에 ‘사극 왕자’답게 정일우는 이번 ‘해치’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흥행 파워를 보여줬다.
지난달 30일 마지막회 시청률 7.4%(닐슨코리아 유료플랫폼 기준), 동시간대 1위를 기록하며 호평 속에 종영한 ‘해치’. 그 중심에서 극의 흐름을 이끌어간 배우 정일우를 지난 2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의 한 갤러리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정일우가 솔직하게 털어놓은 ‘해치’ 비하인드스토리부터 앞으로의 행보까지 지금 공개한다.

Q. ‘해치’를 마친 소감이 궁금하다.
군 복무 이후에 첫 작품으로 사극을 하게 됐는데, 2년 반 만에 복귀하는 거라 걱정도 많았고 우여곡절도 많았다. 잘 마무리하게 돼서 기분이 좋다.
Q. 군 복무할 때 현장이 그리웠을 것 같다. 오랜만에 카메라 앞에 선 기분이 어땠는지 궁금하다.
현장 분위기랑 촬영 시스템이 조금 바뀌긴 했는데, 큰 차이는 없었다. 오히려 밤을 안 새도 돼서 좋았다. 하하.
Q. 복귀작으로 ‘해치’를 선택한 이유가 있을까?
많은 분들이 “복귀작이 현대극이 아니라 사극이라 부담이 있지 않냐”고 물어봤다. 제가 ‘해치’의 대본을 처음 읽었을 때 대본이 주는 힘이 굉장히 커서 다른 생각 없이 바로 선택했다. 저는 작품을 고를 때 캐릭터 중심으로 보는데, 김이영 작가님이 연잉군을 어떻게 그릴지도 궁금했다. 굉장히 매력적인 캐릭터라 선택하게 됐는데, 사실 어려운 부분이 더 많았다. 작가님도 대본을 주실 때마다 항상 “미안하다. 고생이 정말 많고 영조를 해줘서 고맙다”고 말씀하셨다.
Q. 유독 감정 신도 많았고, 액션에 비오는 장면까지 체력적으로 많이 힘들었을 것 같다.
촬영하면서 비를 7번 정도 맞은 것 같다. 하하. 한번은 한파주의보가 내렸는데 비를 맞아야 했던 경우도 있었다. 또 감정 소모가 많아서 체력적으로도 꽤 부담이 됐다. 그래도 ‘해치’가 영조의 성장통을 그린 드라마라 당연히 연기하는 배우도 그렇게 해야 했고, 제가 견뎌야 하는 부분이었다. 매일매일 전쟁터에 나가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오늘도 전쟁에서 이기고 돌아오자’고 다짐했다. 힘들게 촬영을 마치고 다음날 콜이 늦게 있으면 맥주 한 잔 마시면서 피로를 풀었다.
Q. 대사량도 굉장히 많았다.
대본으로 20페이지가 넘을 때도 있었다. 하하. 앞에 나서는 역할이다 보니까 연설하는 신이 유독 많았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쉬운 장면이 몇 개 있다. 또 본의 아니게 촬영이 2주 정도 딜레이가 됐는데, 이후에는 거의 생방송처럼 촬영해서 더 힘들었던 것 같다. 그래도 최선을 다했다. 저 때문에 매니저가 대사 맞춰주느라 고생이 정말 많았다.
Q. 힘들었던 만큼 더 애착이 남았겠다. 기억에 남는 신이 있다면?
석고대죄하는 신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체력적으로도 많이 힘들었던 신이었다. 촬영 후에 거의 일주일 동안은 다리에 힘이 잘 안 들어갈 정도였다.
또 ‘경종’(한승현 분) 형이 죽는 신도 기억에 남는다. 그때는 감정을 만들지 않았고 정말 그 상황에 몰입해서 연기를 한 것 같다. 한 번에 오케이가 났는데, 정말 형이 죽는 것처럼 마음이 아팠다. ‘해치’를 하면서 저는 제 주변 사람들을 다 먼저 떠나보냈다. 아버지, 형, 동생까지 다 죽었는데, 그래서 혼자 남는 사람의 외로움, 쓸쓸함이 더 잘 표현된 것 같다.

Q. 연기를 하면서 어려움은 없었는지?
압박이 강했다. 작가님의 글을 보면 현대사회의 문제를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래서 표현에 있어 더 고민이 됐다. 또 배우라는 직업은 ‘각 장면이 갖고 있는 목적을 잘 표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번 작품을 하면서 작가님과 자주 연락을 했다. 이해가 안 되는 신은 직접 설명을 해주셨고, 많은 도움을 주셨다. 작가님이 안 계셨다면 전 절대 소화하지 못했을 거다.
Q. 김이영 작가의 조언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말이 있다면?
작가님이 눈을 쓰지 말라고 요구했다. 제가 ‘거침없이 하이킥’으로 데뷔했는데, 그 다음부터는 연기할 때 표정이 과한 편이었다. 영조는 타인은 진심으로 이해해야 하는 캐릭터인데, 과한 표정은 오히려 반감을 줄 것 같았다.
작가님이 “눈을 쓰면 만들어진 연기처럼 보일 수도 있다. 마음으로 연기했으면 좋겠다”고 말씀하셨고, 처음에는 그 말을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하다 보니까 눈이나 표정이 자연스럽게 빠졌다.
또 작가님이 처음부터 강조하신 게 ‘해치’의 영조는 새롭게 창조된 인물이라는 점이었다. 그래서 저도 실존 인물을 파헤치기보다 작가님이 그리고자 하는 영조를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그래도 성군이고 백성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는 점은 실제 영조와 비슷한 것 같다. ‘이런 왕이 있으면 정말 좋겠다’고 생각했다.

Q. 영조를 연기한 사람으로서 좋은 리더는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지?
타인을 진심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리더는 한 가지만 잘 하면 되는 것도 아니고, 아래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도 중요한 것 같다. 본인의 것만 챙길 게 아니라 아래 사람들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조력을 해주는 역할이 아닐까? 또 어떤 일이 있던 중심을 잘 잡아야 한다. 저는 연기하면서 중심 잡는 게 힘들었다. 형도 죽고, 동생, 아버지도 죽지만 나는 중심을 잡아야 한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었다.
Q. 현장에서 정일우도 마찬가지였을 것 같다. 주인공으로서 다른 사람들을 이끌었어야 했을 텐데.
이번 드라마를 촬영하던 중에 10년 동안 키웠던 강아지가 갑자기 하늘나라로 떠났다. 그런 상황에서도 연기를 꿋꿋하게 해야 하는 게 굉장히 힘들었다. 리허설을 하면서도 눈물이 계속 났다. 그럼에도 계속 나아가야만 했다. 영조도 그런 마음이었을 것 같다. 이번 작품을 하면서 여러 가지 사건 사고를 겪었지만, 그 안에서도 중심을 잡으려고 정말 많이 노력했다.
저작권자 © 제니스글로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